여기부터 휴대폰은 먹통…북설악 고갯길, 눈이 허락해야 간다

최승표 2024. 1. 10. 05: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진우석의 Wild Korea ⑩ 인제 마장터


눈 덮인 오지의 계곡은 적막하다. 얼어붙은 계곡을 걷는 일은 위험하지만 황홀하다.
1월 초, 마장터는 이미 설국이었다. 지난해 12월부터 많은 눈이 내렸다. 보통 강원도 인제군 북설악 지역은 12월보다 1월 강설량이 더 많다. 마장터는 겨우내 눈부신 설국이 이어질 것이다. 설국은 눈이 지배한다. 눈이 허락해야 트레킹을 즐길 수 있다. 마장터까지는 쉽게 갈 수 있지만, 그 이후가 문제다. 여러 갈래 길 중 물굽이계곡을 따라 내려왔다. 눈과 얼음이 어우러진 투명한 계곡은 겨울의 진경을 보여줬다.

순둥이처럼 착한 길


드론으로 본 마장터. 첩첩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눈을 뒤집어쓴 마장터산장이 보이고, 오른쪽으로 물굽이계곡이 흐른다.
산 좀 다닌다는 사람은 마장터를 안다. 걸어서 백두대간을 넘던 시절, 큰 장이 섰던 곳이다. 미시령, 진부령 도로가 생기면서 마장터는 잊혔지만 산꾼들의 발길은 끊이지 않았다. 국립공원이 아니어서 출입의 제약이 없었기 때문이다. 마장터에는 마음씨 좋은 정준기(82) 씨가 살았다. 그의 투막집은 산꾼들의 사랑방 역할을 했다. 호롱불이 켜진 투막집에서 산꾼들은 우정을 나누었다. 몇 해 전 정 씨는 44년간 살던 마장터를 떠나 속초에 정착했고, 마장터 일부는 설악산국립공원에 포함됐다. 요즘은 오지 백패킹과 원시림 트레킹을 즐기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출발점인 박달나무 쉼터. 건물 오른쪽으로 산길이 이어진다.
차에서 내리자 박달나무 쉼터에서 키우는 강아지가 달려와 반겨준다. 아이젠을 차는데, 강아지가 스패츠를 물고 도망간다. 실랑이하면서 행장을 마무리했다. 설산 트레킹에는 스틱, 아이젠, 스패츠가 필수다. 쉼터 건물 오른쪽 길로 들어선다. 너른 공터에서 계곡을 건너면, 호젓한 오솔길이 나온다. 주변은 눈으로 덮였지만 누가 먼저 걸었는지 산길은 러셀(눈을 헤치고 길을 내는 행위)을 해뒀다. 신년 연휴에 백패커가 다녀간 흔적이다.
작은 새이령까지 오붓한 오솔길이 계곡을 따라 이어진다.
오솔길은 이리저리 작은 계곡을 넘나든다. 길은 순하다 못해 착하다. 평지에 가까운 완만한 오르막이다. 강원도 깊은 산중에 이런 길이 있는 게 신기하다. 여덟 번쯤 계곡을 건넜을까. 오르막 시작 지점, 정준기 씨가 마장터 오는 손님을 위해 만든 약수터가 나왔다. 물맛은 순하고 깊다.

소복하게 눈 쌓인 마장터산장


마장터 가는 길은 낙엽송 군락지 사이를 걷는다.
약수터를 지나면 ‘작은 새이령(소간령)’을 넘는다. 워낙 완만해서 지나고 나서야 고갯마루인 줄 알 수 있다. 여기서부터 핸드폰은 먹통이다. 낙엽송 쭉쭉 뻗은 풍경이 이국적이다. 해발 500m가 넘는 지점에 자리한 널따란 평지, 마장터에 도착했다. 마장터산장은 눈을 잔뜩 이고 있었다. 마치 눈이 지붕처럼 보였다. 그 옆에 투막집도 보였다. 영화 ‘여덟 개의 산’에 나오는 주인공의 별장이 떠올랐다. 산에서 살고 싶었던 주인공은 결국 별장에서 눈에 파묻혀 세상을 뜬다. 마장터산장도 눈에 파묻혀 버릴 것 같다.
마장터의 마장터산장. 쌓인 눈이 하얀 지붕을 이루었다.
고민에 빠졌다. 길은 마장터까지만 나 있다. 계획했던 새이령(대간령) 가는 길은 눈이 지웠다. 다시 박달나무 쉼터로 내려가긴 아쉽다. 일단 도시락을 먹으며 생각하기로 했다. 집에서 먹는 반찬 몇 가지만 챙겼는데도 꿀맛이다.
겨울철에는 보온도시락을 싸가는 게 좋다. 집에서 먹던 반찬이 꿀맛이다.
길 상태를 점검하고, 물굽이계곡을 따르기로 했다. 희미하지만 발자국 흔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발자국을 밟아도 발이 푹푹 빠진다. 러셀은 엄두도 못 내고, 상대적으로 눈이 덜 쌓인 계곡으로 내려왔다. 발자국은 계곡으로 나 있다. 수량이 풍부한 계곡물은 콸콸 흐르고 군데군데 얼어 있기도 했다. 얼어붙은 계곡을 따라 조심조심 걷는다. 퍽! 우지끈! 얼음이 깨질 때마다 머리털이 곤두선다. 계곡 중간의 얼음 지대를 걸을 때는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겨울 물굽이계곡의 황홀한 풍경들


물굽이계곡에서 흘리로 가는 길 역시 눈에 묻혔다. 예상대로다. 선택의 여지가 없다. 물굽이계곡을 따라 굽이굽이 돌면서 차가 다니는 진부령로까지 내려가야 한다. 한 굽이를 지나 노루를 만났다. 서로 깜짝 놀랐다. 노루는 호들갑스럽게 산으로 도망친다. 미끄러져 엉덩방아 찧는 모습을 보고 실실 웃음이 났다.
눈이 덮은 계곡의 돌무더기는 유연한 곡선을 그리고, 쌓인 눈은 은가루처럼 빛난다.
한참 걷다 보니, 발자국이 좀 이상했다. 자세히 보니, 맙소사! 노루 발자국이다. 노루 역시 눈 쌓인 산비탈을 피해 계곡을 따라 이동한 것이다. 얼마나 내려왔을까. 중간중간 보이는 산악회 리본이 반갑다. 오지의 겨울 계곡 풍경은 걱정을 까맣게 잊게 할 만큼 매혹적이었다. 눈과 얼음과 계곡물이 어우러진 풍경은 수묵화 같기도, 세상 존재하지 않는 미지의 세계 같기도 했다. 날것의 풍경들은 순수하고 투명하고 영롱했다.
물굽이계곡을 걷다 보면, 겨울 계곡의 절경이 이어진다. 눈 덮인 계곡에 드러난 작은 소는 어떤 알 수 없는 존재가 세상을 바라보는 눈 같기도 하다.
군부대 사격장을 보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맞게 잘 내려왔구나. 핸드폰 신호가 잡혔다. 문명 세계로 들어왔다. 사격장 앞부터 임도를 따른다. 여기도 눈이 쌓여 걷기가 쉽지 않다. 20분쯤 내려와 종착점인 진부령로를 만났다. 도로가 이렇게 반가울 줄이야. 막상 안전하게 하산하니, 물굽이계곡의 황홀한 풍경이 자꾸 떠올랐다. 이럴 줄 알았으면 걱정은 접어두고, 느긋하게 풍경을 즐기면서 내려올걸.

■ 여행정보

김경진 기자

자가용은 박달나무 쉼터에 주차한다. 주차료 5000원. 박달나무 쉼터에서 마장터까지는 3.1㎞, 1시간 쯤 걷는 쉬운 길이다. 마장터까지 인제천리길 이정표를 따라가면 된다. 마장터 이후는 걷기가 만만치 않다. 산행 경력자와 동행을 추천한다. 길이 열렸다면 새이령 넘어 고성군 도원리로 내려가거나, 새이령에서 마산봉을 거쳐 흘리로 내려와도 된다. 물굽이계곡 하산길은 아름답지만 다소 위험하다. 언 계곡물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전체 걸은 거리는 약 9㎞(물굽이계곡 6㎞), 4~5시간 걸었다.

진우석 여행작가

진우석 여행작가 mtswamp@naver.com
시인이 되다만 여행작가. 학창시절 지리산 종주하고 산에 빠졌다. 등산잡지 기자를 거쳐 여행작가로 25년쯤 살며 지구 반 바퀴쯤(2만㎞)을 걸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길을 걷고, 세상에서 가장 멋진 캠프 사이트에서 자는 게 꿈이다. 『대한민국 트레킹 가이드』 『해외 트레킹 바이블』 등 책을 펴냈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