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르보이스] 3차원의 세계에서 발견!

이마루 2024. 1. 8. 00: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1년 차 운동 코치 에리카가 푹 빠진 운동, 불가리안백의 매력!
©unsplash
「 3차원의 세계에서 발견! 」
2차원의 평면으로 존재하는 개미들은 3차원을 인지하지 못한다. 어린아이가 쭈그리고 앉아 개미 떼를 구경하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위를 올려다보지 못하므로 아마도 개미들은 어둡게 드리워진 그림자를 때 아니게 찾아온 불길한 저녁으로 여길 것이다. “엄마, 이것 좀 봐!”라는 아이의 장난기 어린 외침에도 개미들은 천둥도, 번개도 아닌데 형체 없이 울리는 소리를 듣고 공포에 질릴지도 모른다. 천진한 호기심으로 줄지어 이동하는 개미 중 하나를 집어 든다면? 개미들은 집단 패닉에 빠진다. 알 수 없는 힘에 의해, 순식간에, 한 개미의 존재가 블랙 홀로 증발했다. 개미들은 이 사건을 토대로 새로운 신화와 규율을 만들어낼지도 모른다. 2차원에서 3차원의 움직임은 설명할 수 없는 불가사의일 뿐이다.

요즘 불가리안백에 빠졌다. 불가리안백은 수직과 수평의 세계에 살던 나에게 새로운 차원을 열어준 인터스텔라다. 바벨이나 덤벨처럼 비교적 명확한 형태를 지닌 다른 도구와 달리 불가리안백은 이게 무슨 모양이라고 설명하기 좀 애매하다. 애초에 모티프가 양이기 때문이다. “매에~” 하고 우는 바로 그 동물이 맞다. 우리나라에서 씨름 천하장사에게 황소 한 마리가 주어졌듯이 불가리아 전통 씨름판에서는 챔피언에게 양을 포상으로 주었다고 한다. 이 양을 어깨에 들쳐 메는 게 챔피언의 필수 세레모니였는데, 그 모습을 모티프로 탄생한 것이 불가리안백이다. 모래주머니와 섬유, 고무로 구성돼 있는 내부를 유선형의 가죽이 감싸고 있으며, 메인 핸들 두 개와 보조 핸들 세 개, 스트랩 두 개가 달려 있다. 초승달 같기도 하고 크루아상 같기도 하다(솔직히 나는 처음에 개똥 주머니 같다고 생각했다. 새 봉투가 아니라 이미 개똥이 담겨 있는!).

런지와 스쿼트, 프레스 등 기존 동작들도 수행 가능하지만 불가리안백의 가장 큰 특장점이자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동작은 ‘스핀’이다. 메인 핸들을 양손으로 잡고 온몸의 무게중심을 이동해 가며 큰 호를 그릴 수 있는데, 이 호가 몸의 앞에서 시작해 뒤통수로 넘어간다. 신발주머니를 돌리듯 원이 몸의 옆에서만 그려지는 것도 아니고, 카우보이가 올가미를 돌리듯 원이 몸 위에서만 그려지는 것도 아니다. 불가리안백이 그리는 원에는 한가운데에 내가 있다. 아, 그렇다면 훌라후프처럼 수평으로 돌리는 건가? 그것도 아니다. 불가리안백의 스핀은 2차원이 아닌 3차원의 호를 그린다. 비유하자면 나와 불가리안백의 관계는 지구와 달, 아니 명왕성과 카론의 관계에 더 가까울 것이다. 인력과 척력은 생각보다 동등하게 작용한다.

Instagram @hip_fwang
Instagram @hip_fwang
불가리안백을 처음 잡아보는 사람들이 대부분 맞닥뜨리는 첫 번째 장벽은 과긴장이다. 헬스장 머신이나 3대 운동 같은 고립 운동계 짬밥이 오랜 사람일수록 오히려 스핀이 경직돼 흐름이 뚝뚝 끊긴다. 3대 350에 육박하는 나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제는 어느 정도 스핀이라는 개념에 감을 잡았고, 불가리안백 지도자 자격증도 갖춰 꽤 많은 사람을 가르쳐보니 오히려 운동 경력이랄 게 없는, 자칭 타칭 말랑카우 인간인 분들이 훨씬 빠르게 부드러운 스핀을 만들어내는 케이스가 많다는 걸 깨달았다. 핵심은 이거였다. 내가 불가리안백을 돌리는 게 아니고, 불가리안백이 스스로 돌게끔 하는 것! 수상스키나 웨이크보드를 타본 적 있는가? ‘내’가 어떻게 일어나보려고 애를 쓰면 반드시 강물에 코를 박고 엎어지게 돼 있다. 보트가 이끄는 대로 힘을 빼고 몸을 맡겨야 한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스르르’ 일어서게 된다.

불가리안백 스핀도 마찬가지다. 백이 궤도를 탈 수 있게끔 가운데에서 적당한 구심력과 원심력만 유지해야 한다. 그 이상의 힘은 욕심이다. 원이 2차원이 아니기 때문에 매 순간 적절히 중심을 조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불가리안백을 놓아줘야 하는 구간에서는 여유롭게, 당겨야 하는 구간에서는 과감해야 한다. 어떻게 보면 연애와 비슷하다. 밀고 당기는 장력으로 상대를 계속해서 내 반경에 들어오도록 유지하는 것, 또는 내가 튕겨 나가지 않고 상대 주변에 존재하는 것. 몸 전체로 만들어내는 회전은 스스로를 하나의 우주로 느끼게 한다. 몸 안에서 끊임없이 이동하는 에너지는 만조와 간조 때 파도의 움직임과 같다. 결국 도는 것은 내가 아니라 백이라는 사실까지 깨닫는 것은 사뭇 철학적이기까지 하다.

우리 몸은 분명 가로와 세로에 더해 공간이 존재하는 3차원을 살고 있다. 나는 불가리안백 이상으로 몸을 3차원으로 움직이게 하는 도구를 만나본 적 없다. 그래서 효과가 어떠냐고 묻는다면? 11년 차가 넘어가는 운동 인생 내내 지긋지긋하게 따라다니던 원인 불명의 어깨와 허리 통증이 사라졌다. 몸을 혹사시키며 운동하던 그 어느 때보다 지금의 몸이 제일 내게 딱 맞는다는 느낌이 들고, 이 이상으로 키우기는 힘들 거라고 생각했던 어깨와 복근이 남들이 알아볼 정도로 하루가 다르게 커진다. 회전으로 인해 림프를 비롯한 몸의 모든 순환이 원활해지는 걸 또렷하게 느낀다. 이 운동이 모든 것의 정답은 아니더라도 아직 당신이 떠올리지 못한 전혀 다른 차원의 선택지는 될 수 있을 것이다. 가능하면 많은 사람이 불가리안백을 유력한 선택지로 두고 고심해 보길 바란다. 11년 전 처음 크로스핏을 시작한 이후, 운동으로 이토록 큰 설렘을 오랜만에 느끼는 내가 보증한다.

에리카

여성 전용 헬스장 ‘샤크짐’ 공동대표. 사무직 직장인으로 살다가 30대에 완전한 ‘운동인’으로 각성했다. 더 많은 여자가 운동해야 한다는 믿음하에 〈떼인 근력 찾아드립니다〉를 펴냈다. 역시나 여성 전용 바 ‘에리카’ 운영 중.

Copyright © 엘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