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금 떼어먹은 ‘악성 임대인’이 17명뿐이라고?
HUG, 다주택 채무자 370여명 조사
지난 9월 개정 임대주택법 시행 후
2억 이상 전세금 미반환 17명 불과
소명 중…공개 명단은 더 적을 수도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집중관리하는 다주택 채무자(악성 임대인) 370여명 가운데 ‘명단 공개’ 기준을 충족하는 임대인은 17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전세사기 대책’의 일환으로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상습적으로 떼어먹은 악성 임대인 명단을 올해 말부터 공개할 예정이지만, 실효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맹성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HUG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HUG는 오는 28일쯤 악성 임대인 명단을 처음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는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의 법적 근거를 담은 개정 민간임대주택특별법·주택도시기금법이 9월 말부터 시행된 데 따른 것이다.
명단 공개 대상은 HUG가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대신 돌려주고 청구한 구상채무가 최근 3년 이내 2억원 이상, 횟수로는 2건 이상인 임대인이다. 전세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해 임대사업자 등록이 말소된 지 6개월 이상이 지났는데도 미반환 전세금이 남아 있는 임대인도 공개 대상이다.
악성 임대인의 이름, 나이, 주소, 세입자에게 돌려주지 않은 전세금 액수, 기간 등은 HUG·국토교통부 홈페이지, 안심전세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고의가 아닌 경제난으로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한 집주인의 피해를 막기 위해 법 시행 이후 2개월의 소명 기간을 두고 명단을 공개하기로 했다.
문제는 법 시행(올해 9월29일) 이후 전세금 미반환 사고가 1건 이상 있어야 한다는 점, 미반환 전세금 규모 역시 법 시행 이후 2억원 이상이 돼야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 요건을 채울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19일 현재 이 기준을 충족하는 명단 공개 대상 임대인은 총 17명에 불과하다.
현재 이들에 대한 소명 절차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이달 중 실제 명단이 공개되는 임대인 수는 17명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이미 자력으로는 보증금을 내어줄 수 없는 임대인들이 새롭게 전세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막겠다는 명단 공개 제도에 허점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HUG는 “법의 소급 적용은 어렵기 때문에 시행일 이후 (전세보증금 미반환으로 인한) 채무가 발생한 임대인부터 명단 공개가 가능하다”며 “시간이 지나면서 명단 공개 인원이 증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해 HUG가 대신 갚아줘야 하는 전세금 보증사고액은 올해 4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HUG가 집계한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사고액은 3조9657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사고액(1조1726억원)의 4배 이상 되는 금액이다.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성훈 경호처 차장 사직서 제출···한덕수, 거취 결단 전에 재가할까
- ‘민원 사주 의혹’ 류희림 방심위원장 사의···언론단체 “반드시 책임 물어야”
- 트럼프 “한국에 방위비로 수십억달러 지불”···과장된 인터뷰로 ‘간접 압박’?
- 한동훈 “장관 때 결정적 시점에 사형 집행 심각히 고려” 첫 공개
- 문재인 “지난 3년은 반동과 퇴행의 시간”···윤석열 정부 작심 비판
- [단독]매일 마시는 물인데···‘공업용수로도 못 쓸’ 오염된 지하수 어쩌나
- 1분기 ‘역성장 쇼크’, 올 성장률 0%대로 이어지나···‘기준금리 1%대’ 전망도
- ‘성학대 은폐’ 의혹 추기경, 교황 ‘장례식 주관 사제’로 임명한 교황청 [플랫]
- 김건희 혼자 빠져나간 도이치 사건, 검찰 재수사 나섰지만···
- ‘해킹 사고’ SK텔레콤 “전 고객 유심 무상 교체···2차 피해는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