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의 미래”…‘국제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전’ 개최

최태욱 2023. 10. 4. 16: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7회 국제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전(Steel & Metal Korea 2023, 이하 SMK 2023)'이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대구 엑스코에서 경북도, 포항시, 한국철강협회, 한국비철금속협회 주최로 개최된다.

이번 SMK 2023은 '미래 기초 소재산업으로의 재도약!'을 주제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디지털전환 등 다양한 미래산업과 융합된 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으며, 역대 최대 규모인 200개사 600부스 규모로 개최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래 기초 소재산업으로의 재도약’ 주제로 11~13일 대구 엑스코
지난 2021년 ‘국제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전’ 모습. (엑스코 제공) 2023.10.04
‘제7회 국제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전(Steel & Metal Korea 2023, 이하 SMK 2023)’이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대구 엑스코에서 경북도, 포항시, 한국철강협회, 한국비철금속협회 주최로 개최된다. 

이번 SMK 2023은 ‘미래 기초 소재산업으로의 재도약!’을 주제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디지털전환 등 다양한 미래산업과 융합된 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으며, 역대 최대 규모인 200개사 600부스 규모로 개최된다.

이번 행사의 공동 주관을 맡은 엑스코는 대구·경북의 핵심 산업인 철강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수도권에서 개최되던 국제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전을 지난 2021년 엑스코로 유치하는 데 성공했으며, 지속적인 개최를 통해 지역 산업 판로개척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SMK 2023의 주요 전시품목은 ▲미래금속소재 ▲고부가가치 첨단금속소재 ▲고기능성 강관 및 와이어케이블 ▲가공설비 및 기술들이 전시된다. 

또 미래금속소재산업을 융합해 ▲강관/선재/STS 가공설비 특별관 ▲배터리 특별관 ▲수소/탄소중립/신재생에너지 친환경 특별관 ▲STEEL, DX(디지털 전환) 특별관 ▲이노빌트 특별관 ▲철강 재도약 기술개발사업 공동관 ▲대구경북대학 RIS 공동관 ▲해외공동관 등 다양한 특별관이 마련돼 철강 산업의 무한한 확장성을 보여줄 예정이다.

이번 SMK 2023에는 국내외 굴지의 기업들이 대거 참가하며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주요 철강 기업들의 탄소중립을 향한 로드맵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또 철강 산업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성을 보여주는 업체들도 대거 참가하며 다양한 미래산업을 접목한 특별관들도 마련된다. 

이번 전시회 공동 주최기관인 한국철강협회는 ‘제18회 강관산업발전세미나’, ‘STS 산업발전세미나’, ‘친환경금속인력사업 간담회’, ‘철강협회 ESG세미나’, ‘철강산업 직무특강 및 채용설명회’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준비해 산업 교류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 한국동기술연구조합은 동공업협동조합, 생산기술연구원, 재료연구원, 성균관대학교RIS·RIC와 함께 ‘제44회 동기술강연회’를 주관한다.

철강 및 비철금속 업계 최대 현안을 모색하고, 미래를 대응하는 ‘아젠다23 컨퍼런스’도 개최된다. 

오는 11일부터 12일까지 이틀간 열리는 컨퍼런스에서는 수소환원제철, 저탄소정책, 미래형전기로, ESG경영, AI솔루션 등으로 세션이 구성돼 있고, 전시회 사전등록 및 현장등록 시 무료로 참관 가능하다.

엑스코 이상길 대표이사 사장은 “국제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전이 지역 기업에게 다양한 판로 개척과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는 전시회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철강 산업이 보유한 잠재력과 확장성을 통해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에코프로와 같은 기업을 새롭게 발견하고 철강 산업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행사가 되도록 다양한 교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SMK 2023의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행사 마지막 날인 13일은 오후 5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행사 안내 및 자세한 정보는 박람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구=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