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주위 오돌토돌 ‘비립종’ 함부로 짰다간…

신소영 기자 2023. 9. 20.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립종은 대부분 한두 달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함부로 짜지 말아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가끔씩 눈 주위에 오돌토돌한 좁쌀 알갱이가 올라올 때가 있다. 1~4mm 정도로 작고 희다면 비립종일 가능성이 크다. 아프진 않지만 거울을 볼 때마다 은근히 신경 쓰이는데, 꼭 짜야 하는 걸까?

◇피부 각질 세포 합쳐져 생기는 주머니
비립종은 피부의 죽은 각질 세포들이 합쳐져 생기는 작은 각질 주머니다. 양성 종양이며 통증이나 염증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눈꺼풀이나 뺨에 잘 생겨 외모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는 “피부에서는 세포의 생성과 탈락, 재생 사이클이 이뤄지는데 이 순환이 잘 안 되면 각질 덩어리들이 남아 비립종이 생긴다”고 말했다. 따라서 비립종은 주로 피부 자극이나 피부에 남아있는 화장품으로 인해 잘 발생한다. 피부 모공에 쌓인 피지와 노폐물이 뭉쳐 굳어지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물집이나 박피술, 화상 등에 의한 피부 손상 후에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비립종은 알레르기 피부염이 있거나 건조한 피부인 사람에게서 잘 발생한다. 이러한 피부에서는 피지 분비나 순환이 자연스럽게 흐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생후 1개월 신생아에게도 잘 나타나
비립종은 남녀노소에게 잘 발생하지만, 특히 신생아의 약 50%, 어린아이들에게도 잘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피부 세포의 재생 사이클이 원활하지 않은 것이 원인이다. 김범준 교수는 “아이들은 엄마 뱃속(양수)에 있을 때와 달리, 출산 후 갑자기 건조한 환경으로 나오면 피부 각질 세포의 재생과 탈락이 잘 안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생후 1개월에 비립종이 가장 잘 생기는데, 대부분 한 달 이내에 저절로 사라지므로 굳이 치료할 필요는 없다. 다만, 아이가 크면서 얼굴과 눈을 자주 만지거나 비비면 2차적으로 다시 비립종이 생길 수 있다. 긁히거나 상처가 난 부위 주변에서도 잘 생긴다. 따라서 아이가 평소 얼굴에 손을 자주 대지 않도록 하는 게 좋다.

◇1~2달 후 사라지므로 함부로 짜지 말아야
비립종이 생겼을 땐 가만히 내버려두는 게 가장 좋다. 김범준 교수는 “비립종은 대부분 1~2달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며 “신경 쓰인다면 가벼운 필링용 화장품(피부 표면의 각질을 제거하는 화장품)을 쓰면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필링용 화장품도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면 피부가 건조해져 오히려 비립종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비립종을 집에서 함부로 짜거나 뜯어 상처를 내는 것은 금물이다. 김범준 교수는 “비립종을 잘못 짰다간 염증을 유발하거나 손톱자국, 흉터가 생길 수 있어 웬만하면 건드리지 않는 게 좋다”고 말했다. 따라서 당장 제거하고 싶다면 피부과를 찾는 게 안전하다. 병원에서는 얇은 바늘이나 칼날로 구멍을 낸 후 압출기로 피지를 빼내 비립종을 제거한다. 전기소작법이나 탄산가스레이저 시술로 돌기를 태워버리는 방법도 있다. 비립종을 예방하려면 평소에 화장을 꼼꼼히 지우고, 각질이 쌓이지 않도록 깨끗이 세안하는 게 중요하다. 평소 눈가는 만지지 않는 게 좋다. 또한 비립종은 더운 여름 일광 화상을 입은 후나 여행, 물놀이를 다녀온 뒤에 늘어나는 경우도 흔하므로 선크림을 잘 바르는 것도 필수다.

◇비립종보다 크고 노랗다면 한관종, 피지샘증식증일 수도
한편, 비립종이라 생각했던 것이 한관종일 수도 있다. 특히 20~30대 젊은 여성, 남성들에게는 한관종이 생기는 경우가 더 많다. 한관종은 땀이 나오는 통로인 땀샘에 생긴 일종의 종양이다. 비립종과 비슷하지만 색깔이나 크기로 구별할 수 있다. 비립종은 1~4mm로 작고 흰색인 반면, 한관종은 땀샘에서 나왔기 때문에 노랗거나 살구색을 띤다. 크기도 비립종보다 크며 몇몇에서 수십 개까지 다발성으로 생길 수도 있다. 이 외에 중노년층에게는 피지샘증식증도 많이 나타난다. 이는 기름샘이 밖으로 튀어나온 것으로, 2~6mm 정도로 크며, 노란색을 띤다. 한관종과 피지샘증식증 역시 손으로 함부로 짜지 말고 피부과에서 치료해야 한다.

한관종,피지샘증식증/사진=헬스조선DB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