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현 아파트 2년새 39억↑…가장 비싼 아파트 1위에

방제일 2023. 8. 24. 10: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 하반기 들어 서울에서 거래된 매매가 최상위 아파트 5곳 중 3곳이 비강남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7월 이후 거래된 가장 비싼 아파트는 성동구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198㎡(60평·매매가 9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최상위가 아파트 5곳 중 3곳 비강남권
성수 95억·한남 85억…최고가 아파트 톱3

올 하반기 들어 서울에서 거래된 매매가 최상위 아파트 5곳 중 3곳이 비강남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7월 이후 거래된 가장 비싼 아파트는 성동구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198㎡(60평·매매가 9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전 거래가(55억2000만원)보다 72%(39억8000만원) 오른 가격이다.

지난 2020년 11월 준공된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는 지상 49층 2개 동(280가구)으로 전용면적 116~344㎡(35~104평)인 중대형으로 구성됐다. 지난해 9월 이 단지 전용 264㎡(80평)를 배우 전지현이 130억원에 매수해 주목받기도 했다. [사진=아시아경제]

지난 2020년 11월 준공된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는 지상 49층 2개 동(280가구)으로 전용면적 116~344㎡(35~104평)인 중대형으로 구성됐다. 지난해 9월 이 단지 전용 264㎡(80평)를 배우 전지현이 130억원에 매수해 주목받기도 했다.

2위도 성수동 고급 주상복합인 갤러리아포레가 이름을 올렸다. 이 단지 전용 218㎡(66평)는 6월 88억원에서 이달 신고가는 90억원이다. 최고 층수 45층인 성수동의 대표 주상복합으로, 전용 231~375㎡(70~113평) 230가구로 이뤄져 있다.

3위는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전용 208㎡·63평)로 지난달 신고가인 85억원에 거래됐다. 2021년 9월 70억원보다 15억원 올랐다. 4위와 5위는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전용 244㎡·74평, 71억9000만원)와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 1·2차(전용 160㎡·48평, 65억원)가 차지했다.

2010년대 이후 용산, 성동 등으로 부촌 지형 바뀌어

지난 2020년 11월 준공된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는 지상 49층 2개 동(280가구)으로 전용면적 116~344㎡(35~104평)인 중대형으로 구성됐다. [사진=아시아경제DB]

자산가들이 용산, 성동 등 비강남권에 주목하기 시작한 건 2010년대부터다. 특히 전문가들은 2011년 한남더힐, 2012년 갤러리아포레 등의 단지가 들어서면서 부촌 지형이 바뀌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2014년부터 분양 전환한 한남더힐이 1위로 올라섰고, 2019년 입주한 나인원한남과 2020년 지어진 장학파르크한남이 힘을 보탰다. 성수동엔 2017년 트리마제, 2020년 아크로서울포레스트가 입주했다.

성수동과 한남동은 한강뷰를 남쪽에서 볼 수 있는 한강변 입지인 데다 성수전략정비구역 재개발 등에 따른 미래 가치도 높은 곳으로 꼽힌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전용 330㎡(100평) 안팎의 초대형 아파트는 자산가의 수요가 꾸준한 데 비해 공급이 적다"며 "앞으로 성수동 등의 개발이 마무리되면 강남 못지않은 입지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사 철인 9월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 2년새 최저로 나타나

9월 서울의 입주 물량은 32가구에 불과하다. 작년 동기(3095가구) 대비 99% 감소한 규모다. 경기는 5944가구로, 작년 동기(8874가구)보다 33% 감소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아파트 값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인 입주 물량은 9월부터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인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월의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4986가구로, 작년 동기(3만 4097가구) 대비 27% 감소했다.

특히 수도권은 8431가구에 그쳐 작년 동기(1만 6226가구)와 비교해 사실상 반 토막이 났다. 이는 전월(1만 3187가구)과 비교해도 크게 줄어든 수준이다.

수도권 입주 물량은 2021년 9월(7776가구) 이래 가장 적은 수준이다. 이는 서울과 경기의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서울의 9월 입주 물량은 32가구에 불과하다. 작년 동기(3095가구) 대비 99% 감소한 규모다. 경기는 5944가구로, 작년 동기(8874가구)보다 33% 감소했다.

부동산R114는 지난 7월 초 정부가 역전세 대책을 발표하면서 전세금 반환 대출이 용이해진 덕에 임대차 시장이 안정세에 진입한 가운데 9월까지 수도권의 입주 물량이 적어 올가을 이사 철에는 임대차 가격 회복세가 두드러질 것이라 예상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