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욕" 운운 3억 다 챙긴 김은경..."그런 文알박기 100명 더 있다"

김효성 2023. 8. 4. 06: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이 3일 서울 용산구 대한노인회 중앙회에서 김호일 대한노인회장과 면담을 마친 뒤 취재진 앞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의 ‘치욕’ 발언의 파장이 문재인 정부 당시 임명된 공공기관장의 거취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위원장은 연봉 3억원을 꼬박꼬박 다 챙기고 나서 무슨 염치없고 위선적인 망발을 하는가”라며 “이율배반적이고 모순적인 치욕감은 김 위원장뿐만 아니라 문재인 정부 알박기 인사의 공통된 정신세계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융감독원 부원장(금융소비자보호처장) 출신인 김 위원장은 지난 1일 “윤석열 밑에서 임기를 마치는 게 엄청 치욕스러웠다”고 말했다. 지난해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뒤 사표를 낸 다른 부원장과 달리 이례적으로 3년 임기(2020년 3월~올해 3월)를 마쳤는데 이를 스스로 ‘치욕’이라 표현하자, 여권의 거센 반발을 불렀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3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김현동 기자


금감원 경영공시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임기 3년간 약 8억7000만원(기본급+성과급)을 받았다. 매년 약 2억9000만원을 받은 셈이다. 김 위원장은 당시 중형고급 세단인 제네시스 G80과 운전기사까지 제공 받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감원장 업무추진비는 연간 3000만원 수준인데 부원장도 업무추진비로 1000만원 정도는 쓴다”고 했다.

그러자 여권의 시선은 문재인 정부 당시 임명된 뒤 윤석열 정부 출범 1년 3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는 다른 공공기관장으로도 향했다. 윤 원내대표는 “공공기관 130여곳 가운데 지난 정부에서 임명된 기관장은 100명이 넘는다. 현 정부 국정철학에는 동의하지 않으면서 마지막까지 ‘챙길 건 다 챙기겠다’는 심보”라고 지적했다.

김영옥 기자


여권에서는 특히 버티는 공공기관장 가운데 문재인 정부 청와대 참모나 정부 핵심 요직을 거친 인사들을 주목하고 있다. 민주당 의원(비례대표) 출신으로 문재인 정부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을 지낸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이 대표적이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문 원장은 지난해 1억5041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관용차로는 제네시스G80 전기차가 제공됐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정부 과학정책을 짜는 핵심 기관이다 보니 정부·여당에서는 “원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현 정부 정책과 마찰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문 원장은 지난해 12월 민주당 의원들과 공동 토론회를 여는 등 야권과 관계를 끈끈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런 까닭에 지난 1월 연구원 내부게시판에는 “문 원장 취임 후 연구원이 무너지고 있다”는 우려 글까지 올라왔다.

문미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이 지난 6월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사회정책협의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을 지낸 김제남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과 환경부 차관을 역임한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도 문재인 정부에서 탈원전 정책을 주도한 인사다. 이들의 연봉은 각각 1억7954만원, 2억80만원이다. 여권 인사는 “두 사람은 공개적으로 현 정부에 반기를 들기보다는, 일을 적극적으로 안 하는 방식으로 업무를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와대 민정수석 출신인 김종호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은 지난해 연봉 3억121만원을 받았고 업무추진비로 848만원을 썼다. 여권에서는 “기보는 혁신기업에 금융보증을 서는 기관인데, 감사원 공무원 출신인 김 이사장의 전문성과는 맡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장식 한국조폐공사 사장이 지난해 10월 여의도 국회 기재위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청와대 일자리수석을 지낸 반장식 한국조폐공사 사장은 지난해 연봉 1억8524만원을 받았다. 반 사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입안한 인사다. 그런데 반 사장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 나와 “소득주도성장은 잘한 정책인가”라는 여당 의원 질문에 “그렇게는 생각 안 한다”며 몸을 낮췄다. 여권 관계자는 “임기만료 시점인 내년 2월까지 논란되는 말을 삼가 자리보전을 하겠다는 생각이 강해 보였다”고 했다.

성공회대 교수 출신인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이하 경사연) 이사장은 문재인 정부 초기 국가정보원 개혁발전위원장을 맡아 ‘적폐청산’을 이끌었다. 경사연은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26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총괄하는 조직이다. 지난해 연봉 2억1169만원을 받은 그는 여권의 사퇴 압박에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이에 국무총리실은 내년도 경사연 예산을 30% 감축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영옥 기자


원경환 대한석탄공사 사장은 올해 6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했다는 사유로 ‘경고’ 조치를 받았다. 원 사장은 21대 총선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강원 홍천·횡성·영월·평창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인사다. 여권 관계자는 “정치인을 낙하산으로 내려보내니 개별 기업 역시 흔들리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의 한 초선 의원은 “100여명에 달하는 공공기관 ‘알박기’ 인사가 임기를 다 채우면 윤석열 정부 정책이 제대로 이행되겠느냐”며 “그런 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이번 국정감사에서 적극적으로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