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 새폰 대신 중고폰 산다…시장 신뢰도 높아질까

오수연 2023. 7. 21. 07: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단말기 구매 가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중고폰 시장 활성화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6일 발표한 '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에 담긴 중고폰 활성화 대책이 법안화 수순을 밟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을 통해 일정 조건에 부합하는 중고폰 사업자를 공시하는 제도를 마련하고, 판매자-구매자 간 거래 사실 확인 서비스를 도입해 시장 신뢰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고폰 시장은 중고 거래 플랫폼을 통한 개인 간 매매가 대다수여서 관리·감독이 불가능한 사각지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인간 거래 다수…시장 활성화 입법 추진
중고 아이폰 가격 높아…'리퍼폰' 인기

정부가 단말기 구매 가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중고폰 시장 활성화에 나섰다. 개인 간 거래에 의존하던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의원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6일 발표한 '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에 담긴 중고폰 활성화 대책이 법안화 수순을 밟고 있다.

[이미지출처=픽사베이]

중고폰 활성화 대책 입법 시동

최근 과기정통부와 여당은 중고폰 활성화를 위한 법안 마련 논의를 끝마쳤다. 현재 발의에 앞서 법안을 다듬는 막바지 작업 중으로,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 발의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을 통해 일정 조건에 부합하는 중고폰 사업자를 공시하는 제도를 마련하고, 판매자-구매자 간 거래 사실 확인 서비스를 도입해 시장 신뢰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가격정보 공시, 성능확인서 발급, 개인정보 삭제 프로그램 구비, 일정 기간 내 교환·환불 등 요건을 갖춘 사업자를 육성한다. 법안에는 이와 관련한 중고폰 시장 활성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단말기 값이 치솟자 새 단말기 대신 중고 단말을 구매하는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중고폰 시장은 중고 거래 플랫폼을 통한 개인 간 매매가 대다수여서 관리·감독이 불가능한 사각지대다. 구매 뒤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대처가 어렵다. 정상적으로 해지된 단말기로 알았는데 나중에 분실 신고된 단말로 확인되거나, 구매 뒤 택배를 받았더니 엉뚱한 물건이 들어있는 등 피해 사례가 많다. 개인정보 유출 문제도 있다. 업자를 통하더라도 중국산 가짜 부품으로 수리한 제품을 팔거나, 정품이라도 여기저기서 부품을 짜깁기한 제품인 경우도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올해 1분기 가계통신비는 13만285원으로 작년보다 7.1% 올랐다. 이 중 단말기 구매 금액이 포함되는 통신장비 지출은 3만412원으로 같은 기간 28.9% 늘었다. 중고폰 시장이 활성화되면 이 같은 부담이 줄어든다.

국내 유통 중고폰 삼성 多…가격은 아이폰이 높아

한국 갤럽이 조사한 국내 스마트폰 브랜드별 이용률을 보면 7월 기준 삼성 갤럭시가 69%, 애플 아이폰이 23%다. 자연히 국내에서 거래되는 중고 단말도 아이폰보다 갤럭시가 많다. 중고폰 매입 플랫폼 '셀로'를 운영하는 미디어로그는 "갤럭시S21을 가장 많이 매입했고, 다음은 노트 20, Z플립3 순”이라고 밝혔다.

중고 가격은 단말 구매 시 지원금이 적고 1020세대 선호도가 높은 아이폰이 대체로 높다. 20일 기준 스마트폰 중고거래 사이트 세티즌 시세를 보면 지난해 10월 출시한 아이폰14프로맥스(512GB)는 185만원으로 정가의 84.1%다. 올해 2월 출시한 갤럭시S23 울트라(512GB)는 126만5000원으로 정가의 73.5%다.

최신 단말보다 비싼 구형 스마트폰도 있다. CNN 등 외신 보도를 보면 애플이 2007년 출시한 아이폰 1세대 미개봉 상품은 최근 19만달러(약 2억4159만원)에 낙찰됐다. 삼성의 역작 중 하나로 꼽히는 S20시리즈는 다음 해 출시된 S21보다 중고가가 높다. 자급제 모델을 기준으로 S20(128GB)은 36만6000원, S20플러스(256GB)는 43만9000원이다. S21(256GB)은 35만원, S21플러스(256GB)는 36만5000원이다.

반품된 제품이나 초기 불량 제품을 수리해서 저렴한 값에 다시 판매하는 리퍼비시 스마트폰(리퍼폰)도 인기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글로벌 리퍼브 스마트폰 트래커'를 보면 지난해 리퍼비시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5% 늘었다. 같은 기간 새 스마트폰 판매량은 12% 감소했다. 국내에서도 이동통신사들이 개통 뒤 14일 이내에 취소·반품된 제품, 전시용 제품 등을 검수해 판매한다. 새 제품 같은 상품이지만 많게는 40%씩 저렴한 가격에 금세 품절되기 일쑤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