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티콘 쓰면 환자-의사 소통 원활해집니다

이슬비 기자 2023. 6. 14. 2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환자와 의사 사이 효과적인 소통은 기본이고, 필수다.

이어 "다양한 치료 단계에 있는 환자들은 의사와 소통의 도구로 설문조사를 이용하고 있는데, 많은 설문조사엔 환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가 포함된다"며 "친근하고 보편적인 이모티콘을 이용하면 ▲환자의 이해도를 돕고 ▲긴급한 환자나 말을 할 수 없는 환자가 증상을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고 ▲응답률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모티콘이 환자와 의사간 의사소통을 돕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환자와 의사 사이 효과적인 소통은 기본이고, 필수다. 환자가 어떻게 아픈지 상태를 모르면, 의사는 알맞은 진단을 내릴 수 없기 때문. 최근 이모티콘을 사용하면 소통이 원활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를 의료계에서 사용하는 이모티콘, 메디모지(Medi-moji)라고 부른다.

미국 인디애나대 의대 생명윤리센터 콜린 M. E. 할버슨(Colin M. E. Halverson) 교수 연구팀은 임상에서 이모티콘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기능을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2020년 7월부터 2021년 3월까지 미국 중서부 대형 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자 메시지 시스템에서 최소 1개 이상의 이모티콘이 포함된 것을 수집해 분석했다. 총 80명의 전문의가 참여해 12만 9360개의 메시지를 제공했고, 연구팀은 그중 1%인 1319개의 메시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모티콘은 발신자의 감정적인 상태를 전달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됐고(32%), 의사소통을 시작하거나 유지하거나 종료할 때 친밀감을 유지하는 역할을 했다. 실험 참가자는 상호작용 중 감정의 중요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됐다고 답했다. 이모티콘이 혼란을 야기하거나 전문성을 낮추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Network Open'에선 이 논문을 기반으로 의학계에서는 보편적으로 이해되는 이모티콘 기반 언어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는 내용의 논설을 게재했다. 이모티콘 기반 소통 시스템을 설계해 온 캘리포니아대 리버사이드 캠퍼스 켄드릭 대비스(Kendrick Davis) 교수가 논설문을 작성했다. 대비스 교수는 "이모티콘은 보편적이라는 장점이 있다"며 "교육 수준, 언어, 연령 등을 초월해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치료 단계에 있는 환자들은 의사와 소통의 도구로 설문조사를 이용하고 있는데, 많은 설문조사엔 환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가 포함된다"며 "친근하고 보편적인 이모티콘을 이용하면 ▲환자의 이해도를 돕고 ▲긴급한 환자나 말을 할 수 없는 환자가 증상을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고 ▲응답률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지난 2017년에도 비슷한 연구 결과가 나온 적이 있다. 미국 미네소타 메이요 클리닉이 림프절과 골수암 환자 115명을 대상으로 환자 상태를 파악할 때 이모티콘을 이용하도록 했더니, 시간과 인력을 절약하며 설문조사로 조사하는 것보다 나은 소통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