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이 왜 특권층 거냐"...'향수' 부른 국민테너 박인수 별세

이수민 2023. 3. 2. 09: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수 이동원과 함께 ‘향수(鄕愁)’를 부른 ‘국민 테너’ 박인수 전 서울대 교수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별세했다. 향년 85세.

테너가수 박인수. 중앙포토


1938년 3남 2녀의 장남으로 태어난 고인은 어려운 집안 형편 때문에 유년 시절부터 신문 배달 등을 하며 공부했다. 한편으론 어머니를 따라 동네 교회를 다니며 성가대를 했던 그는 고등학교 2학년 때 교회 목사로부터 성악을 하라는 권유를 받게 된다. 이후 1959년 서울대 음대에 입학했고 4학년 때인 1962년 성악가로 데뷔했다.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건 1967년 국립오페라단이 올린 베버의 오페라 ‘마탄의 사수’의 주역으로 발탁되면서다. 1970년엔 미국으로 건너가 줄리아드 음악원과 맨해튼 음악원 등지에서 공부했다. 이후 미국과 캐나다 등지에서 ‘라보엠·토스카·리골레토’ 등 다수의 오페라 주역으로 활약했다.

1983년 서울대 성악과 교수로 부임한 뒤에는 보다 대중적인 행보에 나서 ‘향수’를 발표했다. “클래식 음악이 특권층의 전유물이 아니다”라는 그의 소신이 담겼다고 한다. ‘향수’는 시인 정지용이 쓴 시에 작곡가 김희갑이 곡을 붙인 노래다. 1989년 음원이 발표된 후 현재까지 130만장 이상 팔린 스테디셀러이기도 하다.

그는 생전에 한 언론 인터뷰에서 “‘향수’를 부르고 나서 잃은 것보다 얻은 것이 훨씬 많다. 대중적 인지도가 높아졌고, 사람들의 인생을 다양하게 이해하게 됐다”고 말한 바 있다.

고인은 국내외에서 독창회는 2000회 이상, 오페라에는 300회 이상 주역으로 무대에 섰다. 2003년 서울대에서 퇴임한 뒤에는 백석대 석좌교수와 음악대학원장을 맡았다. 2011년엔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고인의 장례 예배는 LA 현지에서 3일 오후 6시 진행된다.

이수민 기자 lee.sumin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