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0억으로 배당금 3배 늘린 롯데케미칼…자금 숨통 트이나

오현길 2023. 2. 10. 09: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년 연속 최대 실적을 갈아치운 롯데정밀화학은 지난 7일 이사회를 열고 주당 3500원을 배당키로 결정했다.

롯데케미칼이 롯데정밀화학의 지분을 늘리기 시작한 것은 2021년 11월 말부터다.

지난 2016년 2월 삼성그룹으로부터 롯데정밀화학(당시 삼성정밀화학)의 지분 31.13%를 인수한 후 롯데케미칼은 6년여 동안 지분을 늘리거나 줄이지 않았었다.

배당금은 롯데케미칼의 자금 확보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대실적' 롯데정밀화학 배당금 수혜
일진머티리얼즈 인수 2.7조 마련해야
해외 자회사 팔고 회사채 발행도 추진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2년 연속 최대 실적을 갈아치운 롯데정밀화학은 지난 7일 이사회를 열고 주당 3500원을 배당키로 결정했다. 2021년 2300원보다 52.1%나 인상했다. 6일 종가 5만8400원을 기준으로 5.9%에 달하는 배당수익률이다. 3%대인 5대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를 크게 웃돈다. 수혜는 최대 주주인 롯데케미칼이 누렸다. 총 배당금 890억원 중 380억원가량을 챙길 것으로 예상된다.

수천억원을 들여 롯데정밀화학의 주식을 대량 사들인 롯데케미칼이 1년 만에 웃었다.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와 사업구조 개편을 위한 자금 확보가 시급한 처지에 배당금이 '가뭄에 단비'가 됐다.

롯데케미칼이 롯데정밀화학의 지분을 늘리기 시작한 것은 2021년 11월 말부터다. 지난 2016년 2월 삼성그룹으로부터 롯데정밀화학(당시 삼성정밀화학)의 지분 31.13%를 인수한 후 롯데케미칼은 6년여 동안 지분을 늘리거나 줄이지 않았었다.

그러다 2021년 11월25일 13만2148주를 106억원에 매입하기 시작했다. 작년 상반기에만 1000억원 가까이 사들이며 지분을 늘렸다. 2021년 11월 31.64%(816만3338주)였던 롯데케미칼의 지분은 작년 9월 말 43.5%(1123만4125주)로 늘었다. 1년 남짓 주식 매입에 쓴 돈은 23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분이 늘자 배당금도 증가했다. 2021년 120억원보다 3배 이상 뛰었다.

롯데정밀화학의 성장을 일찌감치 예상했던 결과다. 롯데정밀화학은 동아시아 1위 암모니아 유통사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기능성 셀룰로스 계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셀룰로스 유도체는 식물성 펄프를 원료로 한 화학소재로, 식물성 의약 코팅 원료(애니코트)나 대체육 첨가제(애니애디)로 쓰인다.

경기 회복으로 화학 제품 수요가 늘고, 원료 가격이 오르면서 판매가도 뛰어 호황을 누리고 있다. 지난해에도 매출액 2조4638억원, 영업이익 4085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8.4%, 67.1% 증가했다.

롯데정밀화학의 성장은 롯데케미칼의 기업가치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석유화학 시황 침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내는 롯데정밀화학을 종속기업으로 편입하게 되면 기업가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배당금은 롯데케미칼의 자금 확보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롯데케미칼은 지난달 16일 파키스탄에서 고순도 테레프탈산(PTA)을 생산하는 자회사 'LCPL'의 지분을 현지 기업 럭키코어인더스트리즈에 1924억원을 받고 팔았다. 지난달에는 1조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진행했다. 조만간 3500억원 회사채 발행을 위한 준비도 진행 중이다.

이달 말로 예정된 일진머티리얼즈 인수 대금 2조7000억원과 신사업 투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롯데케미칼은 자체 보유 현금 4000억원과 금융권에서 조달한 1조3000억원, 이번 증자로 확보한 자금 등을 모아 인수 자금을 낼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석유화학 중심의 사업구조에서 친환경 배터리 등 신소재 사업으로 영역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추가 자금이 필요할 텐데 최근 실적은 내림세다.

작년 매출액 22조2761억원을 기록했지만, 업황 부진으로 7584억원가량 영업손실을 냈다. 4분기 손실만 3958억원에 달한다. 당분간 개선 여지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투자 속도를 늦추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 수소에너지 사업과 배터리 소재 사업에서 각각 매출 5조원과 7조원을 거둔다는 목표로 총 10조원을 투자키로 했다. 플라스틱 재활용·바이오 플라스틱에도 조단위 투자에 나선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