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 만해?] 잘 빠진 액션 범죄극 황정민·현빈의 '교섭', 실화가 진입장벽

류지윤 2023. 1. 18.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황정민과 현빈의 첫 만남, 그리고 임순례 감독의 실화로 시선몰이에는 일단 성공한 '교섭'이다.

여기에 '교섭'이 주목받는 또 한 가지 이유는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한 샘물교회 선교단 피랍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됐다는 점이다.

임순례 감독은 2007년 발생한 피랍 사건에서 우리나라 외교부가 아프가니스탄에 파견이 되는 큰 줄기만 실화로 바탕으로 하며, 캐릭터나 교섭이 진행되는 구체적인 시스템은 창작으로 만들어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일 개봉

황정민과 현빈의 첫 만남, 그리고 임순례 감독의 실화로 시선몰이에는 일단 성공한 '교섭'이다. 여기에 '교섭'이 주목받는 또 한 가지 이유는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한 샘물교회 선교단 피랍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됐다는 점이다. 당시 이 사건은 여행이 제한된 국가에 선교를 이유로 입국하면서 개신교에 대한 이미지 추락을 불러온 사건이다.



영화는 아프가니스탄으로 단기 선교를 떠났던 23명의 한국인이 피랍되고, 탈레반이 23명의 탈레반 죄수들을 교환할 것을 요구하며 시작된다.


외교부 소속 정재호(황정민 분)은 교섭을 위해 아프가티스탄으로 향하고 중동 및 중앙아시아 사정에 밝은 국정원 요원 박대식(현빈 분)이 합류한다. 교섭의 원리원칙을 고수하는 정재호와 현장 상황에 맞게 인질을 구해내려 하는 대식이 사사건건 부딪친다. 하지만 이들은 자국민을 구해야 한다는 공통의 목표로 서로 공조해나간다. 여기에 파슈토어와 다리어에 능통한 카심(강기영 분)이 이들이 도우며 영화의 숨통 역할을 한다.


영화는 악랄하기로 유명한 탈레반의 예측할 수 없는 협박과 결단, 인질들을 구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지만 수포로 돌아가는 과정과 갈등이 빠르게 진행된다. 황량한 사막과 모래바람 등 요르단 로케이션을 통해 스크린에 펼쳐진 아프가니스탄의 이국적인 배경은 아름답지만 미지의 세계를 연상시키며 긴장감을 배가시킨다.


배우들의 연기도 영화의 완성도에 기여한다. 황정민은 국민의 안전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정재호의 열정과 올바른 신념을 기조로 극을 끌어간다. 영화 후반 탈레반 수장과의 대면 교섭 신은 '교섭'의 클라이맥스로 황정민의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황정민의 이 같은 연기는 지금까지 많은 작품을 통해 익히 봐왔던 '아는 맛'이다.


현빈은 거칠고 투박한 모습으로 '교섭'에서 조금 더 입체적인 연기를 보여준다. 덥수룩한 수염으로 외모에 변화를 주고, 카체이싱, 오토바이 액션, 맨몸 액션 등을 선보이며 범죄 액션극의 역동성을 담당한다.


임순례 감독은 2007년 발생한 피랍 사건에서 우리나라 외교부가 아프가니스탄에 파견이 되는 큰 줄기만 실화로 바탕으로 하며, 캐릭터나 교섭이 진행되는 구체적인 시스템은 창작으로 만들어냈다. 임 감독 역시 아프가니스탄 피랍사건에 대한 국민적 반감을 고려해 선교단의 사연은 최대한 배제해 외교부 재호와 국정원 요원 대식의 갈등과 공조로 영화적인 재미로 풀어갔다.


영화는 국가와 국민과의 관계, 국민의 안전을 위해 국가가 어디까지 책임져야 하는지, 잘못을 한 국민은 국민으로서 보호 받을 수 권리가 없는지 등의 질문을 묵직하게 던진다. 관객에 따라 샘물교회 사건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영화적 쾌감을 다르게 느낄 것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반감을 가지고 설득이 되지 않는다면 영화가 던지는 시선이 불편할 수 있다. 18일 개봉. 러닝타임 108분.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