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던 혓바늘 왜 생겼을까, 어떻게 없앨까?

강수연 기자 2023. 1. 13. 05: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없던 혓바늘이 갑자기 돋아났다면 요새 스트레스가 많아서일 수 있다.

혓바늘은 혀·구강 표면에 작은 궤양이 생기거나 미각을 담당하는 혀 유두가 염증으로 붉게 솟아오르는 증상이다.

혓바늘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혀 표면에는 미각을 담당하는 설유두가 있어서 혓바늘이 나면 맛을 잘 못 느끼기도 한다.

증상이 3주 이상 지속되거나 혓바늘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구강암과 같은 다른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비인후과 방문을 권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없던 혓바늘이 갑자기 돋아났다면 요새 스트레스가 많아서일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어제까지만 해도 없던 혓바늘이 갑자기 돋아났다면 요새 스트레스가 많아서일 수 있다. 혓바늘은 혀·구강 표면에 작은 궤양이 생기거나 미각을 담당하는 혀 유두가 염증으로 붉게 솟아오르는 증상이다. 대개 과로나 스트레스로 인해 생긴다. 스트레스로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침샘에 혈액 공급이 안 되고, 침 분비가 줄면서 혓바늘이 발생한다. 침에는 라이소자임, 락토페린, 퍼록시다아제 등 항생물질이 들어있어 세균 등 외부 물질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해준다. 이때 침 분비가 줄어들면 감염에 취약해져 혓바늘이 생길 위험이 커지는 것이다. 이외에도 비타민A·C가 부족하거나, 혀·구강 표면 등을 잘못 깨물어 외상으로 유발될 수도 있다.

혓바늘이 생기면 스치거나 밥을 먹을 때마다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말을 하거나 밥을 먹을 때는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혓바늘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혀 표면에는 미각을 담당하는 설유두가 있어서 혓바늘이 나면 맛을 잘 못 느끼기도 한다.

혓바늘을 없애기 위해선 충분한 휴식을 통해 면역력을 회복해야 한다. 자극적인 음식과 흡연은 입안에 자극을 줘 증상을 악화할 수 있어 피한다. 항균 효과가 있는 가글로 입안을 헹구는 것도 입속 세균 증식을 억제해 염증 악화를 막을 수 있다. 혓바늘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1~2주 이내에 증상이 나아지지만, 통증이 심하면 병원을 방문해 스테로이드제를 처방받거나 시중에 출시된 구내염 치료약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증상이 3주 이상 지속되거나 혓바늘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구강암과 같은 다른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비인후과 방문을 권한다.

혓바늘을 예방하려면 평소 과일과 채소 섭취를 통해 비타민을 보충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도움 된다. 타액 분비를 돕는 운동법도 도움이 된다. 입을 다문 상태에서 혀를 잇몸에 대고 3바퀴, 반대 방향으로도 3바퀴 돌린다. 그다음 턱뼈 아래에 위치한 침샘을 둥글게 천천히 돌려주면서 마사지한다. 하루 4회 정도 시행하는 게 적당하다. 운동법으로도 침 분비가 나아지지 않는다면 인공 타액제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