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있는데.." 완도·강진에만 없는 공공도서관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2022. 10. 11. 15: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민 접근성 떨어진 공공도서관 부지선정 '비난'
전남 서부권 대표 도서관으로 알려진 목포공공도서관은 지난 1982년 개관 후 1994년 10월 새롭게 신축했다. 사진=목포공공도서관 제공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전남에서 완도군과 강진군에만 유일하게 공공도서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은 단순히 책 대여만 하는 기관이 아니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 프로그램이 있는 종합 교육기관의 성격을 띠고 있어, 지역민들이 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전남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전남 도내 22개 시·군 중 19개 시·군에 공공도서관이 운영되고 있다.

여수시, 목포시, 나주시, 순천시, 광양시, 고흥군, 장성군,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진도군이다.

여기에 나주 남평, 보성 벌교,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까지 포함하면 22곳에 달한다.

이들 중 신축·확장한 시설은 ▲곡성교육문화화관 ▲목포공공도서관 ▲나주공공도서관 ▲전남고흥평생교육관 ▲장성공공도서관 ▲광양공공도서관 ▲담양공공도서관 ▲구례공공도서관 ▲보성공공도서관 ▲화순공공도서관 ▲해남공공도서관 ▲영광공공도서관 ▲진도공공도서관 등 총 9곳이다.

공공도서관은 책 대여 서비스뿐만 아니라 인문학부터 학생, 청년, 산모, 아빠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열려 지역민들의 문화·교육의 산실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완도, 강진, 신안지역 주민들은 이런 혜택을 받을 수가 없는 실정이다.

이 세 곳만 전남에서 유일하게 공공도서관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신안군은 오는 2024년 개관을 목표로 5000㎡의 부지에 연면적 1300㎡의 건축 규모(지상 2층, 열람석 160석)로 사업을 이미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강진군은 공공도서관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 후 부지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중이다.

반면 완도군은 공공도서관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 의지와 부지선정 계획도 없는 상태로 확인됐다.

올해 초만 하더라도 부지 기부채납을 약속하고 10억원을 지원하겠다며 적극적으로 나섰던 완도군이 갑자기 태도를 바꿨다.

군은 공공도서관과의 성격이 비슷한 복합도서관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는 이유로 공공도서관 건립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군이 계획 중인 복합도서관의 장소가 실제로 주민들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완도교육지원청과 지역민들은 도서관 위치가 접근성이 떨어지면 도서관을 개설해도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접근성이 용이한 부지를 요청하기도 했다.

교육지원청 한 관계자는 “완도군이 추천한 장소는 읍내에서 너무 멀고 외곽이다. 대중교통도 원활하지 않은 위치에 단순히 건물만 세운다면 도서관의 의미가 없다”며 “접근성이 좋은 장소에 설립해야 주민들이 교육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도서관은 단순히 도서만 대여하는 기관이 아니다”며 “교육전문가들이 직접 교육프로그램 등을 개발·연구해 주민들에게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교육기관이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주민 접근성을 고려해 주민 의견수렴을 실시한 후, 공공도서관 신축 예정 부지를 월출산 기찬랜드에서 교동지구로 전격 변경한 영암군과 완도군을 비교하기도 했다.

한 주민은 “완도에는 공공도서관이 없어 그동안 해남으로 다녔다”며 “지난 5월 ‘완도공공도서관 설립’이라는 현수막이 여기저기 걸려 있는 것을 보고, 기대가 컸는데 갑자기 말이 바뀌니 솔직히 실망스럽다”고 토로했다.

이철 전남도의원은 “군에 공공도서관 설립에 대해 여러 차례 건의했으나 별다른 진척이 없다”며 “시설만 여기저기 만들어 놓고 역할도 제대로 못 한다면 아무 소용없다. 학생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참여할 수 있는 교육 전문기관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교육은 ‘백년대계’라고 했다. 완도 주민들이 교육받을 곳이 없어 해남으로 나가는 실정에 읍내에 부지가 없어 도서관 설립을 못 한다는 것은 ‘핑계’라고 본다”며 “의지만 있다면 못 할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군 관계자는 “교육청이 부지 접근성을 문제 삼아 도서관 추진이 멈춘 상태다. 공공도서관과 별개로 완도군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어린이복합문화도서관 건축을 구상 중이다”며 “군이 운영하는 도서관과 교육청의 도서관은 성격이 같다고 생각한다.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면 주민들에게 더 혜택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해명했다.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lejkg123@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