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휘는 14호 태풍 '난마돌'.. 일본 두 번 상륙하나

김철오 2022. 9. 15. 17: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대한해협 주변에서 방향을 급격하게 틀어 일본을 두 차례 상륙하는 예상 경로를 그렸다.

알파벳 '씨(C)'를 그리듯 일본 쪽으로 급회전하지만 제주도 동부, 영남 동남부, 독도를 여전히 '강풍반경'(초속 15m 이상 권역)에 둘 수 있어 경계를 요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동쪽 연안, 부산·울산·경남, 독도가 난마돌의 '강풍반경'에 들어갈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키나와 동남쪽 해상서 북서진 중
18일 가고시마 앞에서 돌연 북동진
20일 일본 혼슈 북부 재상륙 가능성
기상청은 15일 오후 4시 태풍통보문에서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오후 3시 현재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106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7㎞의 속도로 서북서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상청 홈페이지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대한해협 주변에서 방향을 급격하게 틀어 일본을 두 차례 상륙하는 예상 경로를 그렸다. 알파벳 ‘씨(C)’를 그리듯 일본 쪽으로 급회전하지만 제주도 동부, 영남 동남부, 독도를 여전히 ‘강풍반경’(초속 15m 이상 권역)에 둘 수 있어 경계를 요한다.

기상청은 15일 오후 4시 태풍통보문에서 “난마돌이 오후 3시 현재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106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7㎞의 속도로 서북서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난마돌은 태풍위원회 회원국인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된 유네스코 세계유산 유적지 이름이다. 일본 남쪽 먼바다에서 제자리를 돌며 세력을 키우던 제26호 열대저압부가 지난 14일 오전 3시 태풍으로 발달해 북상하고 있다.

난마돌은 현재 한반도나 중국으로 향할 것처럼 북서진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 규슈 서남부 가고시마 서쪽 약 170㎞ 부근 해상으로 접근할 18일 오후 3시에 돌연 방향을 바꿔 북동진할 것으로 기상청은 보고 있다. 난마돌은 이때 중심기압 955hPa(헥토파스칼)까지 끌어내려 ‘강한 태풍’의 위력을 발휘하게 된다. 최대 초속 40m(시속 144㎞)의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난마돌은 그렇게 규슈를 관통한 뒤 일본 본섬인 혼슈 서남단으로 올라타 다시 육상을 관통할 수 있다. 시마네현 주변에서 동해로 빠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19일 오후 3시 난마돌의 위치를 일본 오사카 서북서쪽 약 290㎞ 부근 해상으로 지목했다.

주목할 건 동해로 빠져나간 뒤의 진행 방향이다. 난마돌은 동해에서 중형 태풍으로 약화되지만 완전히 소멸되지 않고 혼슈 북서쪽으로 진출할 수 있다. 기상청은 난마돌이 오는 20일 오후 3시 일본 센다이 북서쪽 약 200㎞ 부근 해상에서 시속 32㎞의 속도로 북동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경우 난마돌은 혼슈 북부, 혹은 홋카이도로 들어가게 된다. 일본이 서남부에서 한 차례, 동북부에서 또 한 차례 난마돌의 상륙을 겪을 수 있다는 얘기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동쪽 연안, 부산·울산·경남, 독도가 난마돌의 ‘강풍반경’에 들어갈 수 있다. 영남 동남부와 독도의 경우 태풍 위치 70% 확률 반경에 있다. 난마돌이 한반도에 상륙하지 않아도 경계를 풀 수 없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기상청은 “태풍의 위치가 4~5일 뒤 유동적일 수 있어 향후 발표되는 기상 정보에 유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