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13주기, 종일 붐빈 봉하마을.. 5년만에 온 문재인 "시민들이 당신 뒤를.."

윤성효 2022. 5. 23. 17: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장] 23일 추도식 엄수, 참배객 1만 2000여 명.. 문 전 대통령·한덕수 총리 등 참석

[윤성효, 김보성, 이희훈 기자]

 문재인 전 대통령 내외, 권양숙 여사, 정세균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이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고 노무현 대통령의 13주기 행사를 마치고 참배를 위해 묘소로 이동 하고 있다.
ⓒ 이희훈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삶을 따라가보는 경남 김해 봉하마을 '깨어있는 시민 문화체험전시관'이 서거 13주기 추모제가 열리는 23일 특별개관했다.
ⓒ 김보성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3년이 지나도 그리워하는 사람들의 발걸음은 끊이지 않았다. 23일 경남 김해 진영읍 봉하마을에는 온종일 추모객이 모여들었다. 이날 오후 3시까지 묘역을 방문한 참배객만 1만 2000여 명에 달했다.

노무현재단(이사장 정세균)은 이날 오후 2시 묘역 옆 생태문화공원 잔디동산에서 13주기 추도식 행사를 열었다. 현장에는 "반드시 성공한 대통령이 돼 임무를 다한 다음 찾겠다"라던 문재인 전 대통령도 5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노무현 전 대통령 13주기 "나는 깨어있는 강물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삶을 따라가보는 경남 김해 봉하마을 '깨어있는 시민 문화체험전시관'이 서거 13주기 추모제가 열리는 23일 특별개관했다.
ⓒ 김보성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고 노무현 대통령의 13주기를 맞아 윤석열 대통령, 박병석 국회의장, 한덕수 국무총리, 여야 당대표의 근조환이 나열되어 있다.
ⓒ 이희훈
노무현재단은 13주기 추도식의 주제를 '나는 깨어있는 강물이다'로 정했다. 추도식 현장에 의자 3000개가 마련됐지만, 들어가지 못한 많은 사람이 숲속에 앉아 있거나 서서 행사를 지켜봤다. 추도식은 1시간 가량 진행됐다.

문재인 전 대통령, 정부 측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을 대신해 한덕수 국무총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진복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 민주당에서는 이재명 전 대통령선거 후보, 이낙연 전 국무총리, 이해찬·유시민 전 재단 이사장, 국민의힘에선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 권성동 원내대표, 정의당에서는 심상정 국회의원 등이 함께했다.

추도식은 박혜진 아나운서의 사회로 시작됐다. 국민의례와 내빈소개, 공식 추도사, 강산에 추모 공연, 조규애 깨어있는시민 문화체험전시관 도우미 시민추도사, 영상 상영, 정세균 이사장 인사말, 진영이음합창단의 '상록수' 합창 등의 순서로 행사가 이어졌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공식 추도사를 통해 고인의 삶을 떠올렸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한국이 균형자 역할을 하고자 했다"라며 "강대국들에 둘러싸인 우리나라가 그들에게 휘둘리기만 할 게 아니라 스스로 운명을 주도적으로 개척해 나가려고 애썼다"라고 말했다.

지난 대통령선거도 언급한 정 전 장관은 "최근 대선 패배 후 기운이 나지 않는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다"라며 "그러나 물길은 평지에서도 곧게만 흐르는 것이 아니다"라고 얘기했다. (관련기사 : 정세현 "노무현 전 대통령, 강대국에 흔들리지 않는 외교 강조" http://omn.kr/1z1jt )

정세균 이사장도 인사말을 통해 "진정한 추모의 시작은 노무현 대통령의 이루지 못한 꿈을 다시 깨어나게 하는 것"이라며 "아직 우리 가슴 속에 남아 있는 그의 못다 이룬 꿈이 이 자리에 함께한 시민 여러분의 힘으로 완성되길 진정으로 고대한다"라고 밝혔다.

이날 특별 개관한 노 전 대통령의 전시관 설명도 이어졌다. 정 이사장은 "이곳 봉하 들판에 세워진 깨어있는시민 문화체험전시관은 지역을 거점으로 노무현의 시민 민주주의를 함께 배우고 함께 키워내는 공간이 될 것"이라며 고인의 뜻을 기리는 공간에 의미를 부여했다.

정 이사장은 "깨어있는 시민 여러분, 노무현 대통령이 그토록 바랐던 민주주의의 완성을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자"라며 "특권과 반칙을 배격하고 원칙과 상식을 기반으로 정의로운 나라, 시민이 자유로운 세상을 만드는 데 함께 힘을 모아달라"라고 호소했다.

5년 만에 봉하행 문재인 "깨어있는 시민들이 당신의 뒤를 ..."
 
 문재인 전 대통령 내외, 권양숙 여사, 정세균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이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고 노무현 대통령의 13주기 추도식 행사를 마치고 헌화를 위해 묘소로 이동 하고 있다.
ⓒ 이희훈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문재인 전 대통령 내외와 권양숙 여사가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고 노무현 대통령의 13주기에 참석하던 중 인파에 떠밀려 입장하고 있다.
ⓒ 이희훈
 
추도식 이후 참가자들은 노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했다. 노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 등 유가족과 문 전 대통령 등이 차례로 너럭바위로 이동했다.  특히 문재인 전 대통령이 이동하자 연호가 쏟아졌다. 이를 보고 문 전 대통령은 간혹 손을 들어 인사했다.

이재명 전 대통령 후보와 이낙연 전 총리, 이해찬·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향해서도 환호가 이어졌다. 반면, 윤석열 정부를 대표하는 한덕수 국무총리,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이동할 때는 반응이 교차했다. 일부에서는 고성이, 일부에서는 박수가 터져 나왔다.

묘역에는 윤 대통령·한 총리·박병석 국회의장·국무위원 일동을 비롯해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김영삼 전 대통령 부인 손명순 여사·윤호중·박지현 민주당 공동비대위원장·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여영국 정의당 대표·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권성동 원내대표 등 여러 인사들의 조화가 놓였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앞서 오전 10시경 봉하마을에 도착해 '깨어있는시민 문화체험전시관'을 관람했다. 이 전시관은 이날 특별 개관했고, 8월 27일부터 정식으로 문을 연다. 정세균 이사장과 함께 전시관을 관람한 문 전 대통령은 40여 분 가량 전시관을 둘러보고 나온 뒤 방명록에 "깨어있는 시민들이 당신의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라고 썼다.

별도의 발언은 없었다. 대신 시민들의 손을 잡으며 인사를 나눴다. 5년 만에 문 전 대통령이 이곳을 방문하자 이를 반기는 글귀도 등장했다. 펼침막에는 "성공한 대통령 문재인 끝까지 함께 합니다", "자랑스러운 문재인 대통령님, 사랑합니다 존경합니다 끝까지 함께 합니다"라고 적혔다.

추도객 맞이에 나선 봉하마을은 이날 아침부터 분주한 모습을 보였다. '김해 노사모'는 마을 입구에서 참배객들을 위해 떡을, 노무현재단은 이번 추도식 주제가 적힌 노란 모자를 나눠줬다.

현장에서 만난 명계남 배우는 "올해가 13주기다. 서양에서는 '13'이라는 숫자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이번 추도식, 이번 봄은 더 견디기 힘들다"라며 "매년 그래 왔지만, 올해 봄은 더 그런 것 같다"라고 말했다.

부산과 울산, 대전 등지에서 단체로 차를 타고 오는 참배객들도 눈에 띄었다. 50대 여성 이아무개(양산)씨는 "서거 13주기라고 해서 왔다. 오니까 노 대통령 얼굴이 더 생생하다"라며 "그리운 마음에 왔는데 눈물이 나려고 한다"라고 말했다.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제 현장에서 만난 명계남(동방우) 배우. 명계남 배우는 노무현재단 상임운영위원을 지냈다.
ⓒ 김보성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