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크론, 백신·감염 이력으로 예방 가능할까?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2022. 3. 27. 14: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9일 코로나19 델타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결합한 '델타크론' 변이 발생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분석팀은 "델타크론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오미크론 변이에서 유래한 것으로 확인된다"며 "백신 접종 또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항체 형성을 통해 델타크론 변이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오미크론 변이 감염을 통해 획득한 항체는 델타크론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게티이미지뱅크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9일 코로나19 델타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결합한 '델타크론' 변이 발생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발생하던 델타크론은 24일 태국에서도 76건 확인됐고, 델타크론이 전 세계 우세종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코로나 백신 접종이나 감염을 통해 형성된 항체는 델타크론에도 효과가 있을지 알아보자.

세부 계통별 조합 다양… 국내는 아직

델타크론은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재조합된 변이 바이러스로, 델타 또는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 계통과 발생 지역에 따라 크게 6가지로 분류된다.

첫 번째 유형은 델타 변이의 세부 계통인 AY.4와 오미크론 변이 세부 계통인 BA.1이 재조합된 것이다. 프랑스, 덴마크, 네덜란드, 영국 등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현재까지 54건이 확인됐다.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는 이 중 3건을 별도로 분리·배양해 관찰했는데, 3명의 환자 모두 가벼운 호흡기 증상을 보였다. 그 중 2명은 백신(2차와 3차) 접종 완료자였다.

두 번째 델타크론은 미국 동부해안에서 확인된 델타 변이의 세부 계통 AY.119와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 계통인 BA.1.1의 재조합 변이이다. 이 유형은 총 7건이 확인됐다.

세 번째 델타크론은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 계통 BA.1의 재조합 변이로 현재까지 1건으로 집계됐다. 두 번째 유형과 세 번째 유형은 모두 2021년 11월~2022년 2월 사이 미국에서 채취한 검체 전장유전체분석 결과에서 확인됐다.

네 번째는 호주 퀸즐랜드 지역에서 확인된 델타크론(7건)이다. 이 유형은 델타 변이의 세부 계통인 AY.39와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계통인 BA.1의 재조합이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는 영국에서 확인된 델타크론이다. 다섯 번째 유형은 델타 변이의 세부 계통인 AY.4.2.2와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 계통인 BA.1.1의 재조합 변이이다. 이 유형은 34건이 확인됐다.

여섯 번째 유형은 델타의 ORF1a(뉴클레오타이드 2255∼5386)와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 계통 BA.1이 재조합된 변이이다. 지금까지 3건이 확인됐다. 국내에선 아직 6개 유형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델타크론 변이는 코로나19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재조합된 변이 바이러스다. /질병관리청 '주간 건강과 질병' 전 세계 델타크론 변이에 대한 발생현황 발췌

백신·감염으로 얻은 항체, 일단은 예방 효과 有

델타크론이 델타 변이의 높은 중증도와 오미크론 변이의 강력한 전파력을 지닌 최악의 변이가 될 수 있단 우려가 나오지만, 전문가들은 델타크론이 오미크론과 유사할 것이라 파악하고 있다. 실제 WHO는 델타크론이 기존의 다른 변이보다 전파력이나 중증 위험도가 높다는 증거가 아직 없다고 발표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분석단 검사분석팀은 "세계보건기구,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 영국 생어연구소 등을 따르면 각각의 델타크론 변이는 지금까지 확인된 건수가 적고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없다"고 밝혔다.

검사분석팀은 추가 자료 등을 검토해봐야 하나, 지금까지의 자료를 볼 때, 기존 코로나 백신 접종과 감염 이력 등을 통해 델타크론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전했다. 분석팀은 "델타크론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오미크론 변이에서 유래한 것으로 확인된다"며 "백신 접종 또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항체 형성을 통해 델타크론 변이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분석팀은 "현재 델타크론 변이에 대한 전파력, 질환 중증도, 면역 회피 등의 분석자료가 없어 바이러스 특성 및 임상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추가 분석은 필요하다"라며 "질병관리청은 델타크론 변이에 대한 해외 발생 현황과 국내 유입 여부 감시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