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계약은 월세 '+100만원'..심해지는 이중가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갱신계약과 신규계약간 '이중가격'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갱신계약은 임대차법 영향으로 상한율이 5%로 제한되는데, 이를 적용받지 않는 신규계약에서는 보증금이나 월세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서다.
서울 강동구 고덕그라시움 59.78㎡(전용면적)의 경우 갱신계약은 대부분 전세 보증금이 4억~4억5000만원 수준에서 체결됐지만 신규계약은 보증금 4억원에 월세 100만~115만원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월세 시장 '이중가격' 갈수록 심화
보증금 비슷한데 월세 100만원 차이나기도
종부세 조세전가에 월세 전환 가속화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갱신계약과 신규계약간 ‘이중가격’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갱신계약은 임대차법 영향으로 상한율이 5%로 제한되는데, 이를 적용받지 않는 신규계약에서는 보증금이나 월세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서다. 특히 세입자에 대한 조세전가로 최근 이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하는 모습이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부터 ‘국토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을 통해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기간과 갱신계약정보를 추가로 공개하고 있다. 기존에는 단지명과 계약일, 임대료 등만 공개했지만 지난 6월 임대차신고제 시행으로 정부가 확보할 수 있는 정보가 늘어났고, 정부는 임대차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는 차원에서 갱신·신규계약 정보를 추가 공개하기로 했다.
공개된 전·월세 정보를 살펴보면 최근 ‘이중가격’ 현상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동구 고덕그라시움 59.78㎡(전용면적)의 경우 갱신계약은 대부분 전세 보증금이 4억~4억5000만원 수준에서 체결됐지만 신규계약은 보증금 4억원에 월세 100만~115만원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보증금은 4억원대로 유사하지만 전셋값이 오른 만큼 이를 월세로 전환해 계약을 체결한 셈이다.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 1단지 84.89㎡도 지난달 9일 갱신계약은 보증금이 7억5000만원에서 7억8500만원으로 3500만원 오르는데 그쳤으나, 신규계약은 같은달 8일 10억5000만원에 체결됐다. 강남구 은마아파트 76.79㎡ 역시 갱신계약은 보증금 2억원에 월세 107만원에, 신규계약은 보증금 2억원에 월세 185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업계는 집주인들이 부담해야 하는 종부세와 재산세 부담이 커지면서 전세를 월세나 반전세로 바꾸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고덕그라시움은 지난달 신규 임대차 계약으로 신고된 20건 중 월세가 조금이라도 낀 거래는 9건으로 45%에 달했다. 세입자들도 급등한 전셋값과 금리인상 탓에 ‘울며 겨자먹기’로 월세를 선택하는 사례가 많다.
세입자가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음에도 사용하지 않고 월세나 보증금을 5% 이상 올린 경우도 다수 확인됐다. 국토부에 따르면 임대차신고제 시행 이후 10월까지 신고된 총 갱신계약 10만231건 중 2만3084건(23.0%)은 권리를 행사하지 않았다. 이는 집주인과의 갈등 때문일 수 있으나,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하지 않으면 2년 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추후 전셋값이 더오를 것을 우려해 권리 행사를 한차례 유보한 세입자도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갈수록 심해지는 전세난과 이중가격 심화에 연말까지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지만 마땅한 해결법은 없는 상황이다. 국토부는 "새로운 대책을 낸다기보다는 기존의 전세대책이나 단기 공급방안을 더 철저하게 챙기겠다는 의미"라며 "공급이 확보되면 전·월세가격도 안정화될 것으로 본다"는 입장이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국민에 65만원 소비쿠폰 지급…60세 이상엔 86만원 주는 싱가포르 - 아시아경제
- 울릉도 '비계 삼겹살' 정체 밝혀졌다…"찌개용 고기 잘못 내놔" 업주 사과 - 아시아경제
- "따뜻한 엄마였다"…정청래, 강선우에 "동지는 비 올 때 함께 비 맞아주는 것" - 아시아경제
- "시청에서 잘못했는데 우리가 왜…" 소비쿠폰 '색깔' 논란에 공무원 밤샘 동원 - 아시아경제
- "단돈 1000원으로 극장에서 영화 보자"…할인티켓 450만장 뿌린다 - 아시아경제
- 1200억짜리 전투기 조종석 '와장창'…범인의 정체는 - 아시아경제
- "해외 고수익, 안 좋은 일" 대놓고 조직원 뽑는 보이스피싱 - 아시아경제
- '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유영재, 항소심도 징역 2년 6개월 - 아시아경제
- 김계리 "尹 변론 준비하다 '이렇게 망가졌구나' 혼자 울부짖어" - 아시아경제
- 김종혁 "이재명 정권, 지지율 하락하니 강선우 내던져"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