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분기 14조원 배당..네슬레 제치고 전 세계 1위

이승호 2021. 8. 24. 11: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7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으로 직원들이 들어가고 있다.[뉴스1]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전 세계에서 배당을 가장 많이 한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영국 자산운용사 제너스 헨더슨(Janus Henderson)이 23일(현지시간)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분기 122억 달러(약 14조2581억원·특별 배당 포함)를 배당하며 개별 기업 중 1위를 차지했다. 네슬레, 리오틴토, 스베르뱅크, 사노피 등이 뒤를 이었다. 제너스 헨더슨은 “삼성전자는 올해 전체 (배당액으로 따져도) 5위 안에 드는 배당기업 될 것”으로 예상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충격에서 벗어나 실적을 회복한 전 세계 기업들은 올해 들어 배당을 늘리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의 2분기 배당금 총액은 4717억달러(약 551조원)다. 코로나19 충격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6.8% 정도 낮지만, 지난해보다는 26% 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도 있지만 과거 수준을 회복하는 모양새다.

전세계 기업으로 보면 84%가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배당금을 늘리거나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너스 핸더슨은 “배당의 반등세가 예상보다 강력했다”며 “기업들이 실적 호조에 힘입어 동결했던 배당금을 재개하고 특별배당금을 높인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지난 5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한 트레이더가 증시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AP=연합뉴스]


다만 지역별로는 배당 상승률에 차이가 났다. 특별배당과 환율변화 등의 요소를 반영해 제너스 헨더슨이 설정한 기저 배당금 상승률에서 영국(42.2%)과 유럽(20.1%)에서는 배당금이 늘어났다.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태평양지역(13%)도 배당 규모가 늘었다. 삼성전자의 배당에 힘입은 영향이다. 일본의 배당은 11.9% 늘었다.

반면 북미에선 캐나다를 중심으로 기록적인 배당금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배당금액 감소가 크지 않아 상승률이 5.3%에 그쳤다. 반면 신흥시장 기업들의 배당은 3.2% 감소했다. 신흥 시장 기업의 56%만이 2분기에 배당금을 늘리거나 유지했다.

업종별로 보면 원자재 가격 호황에 힘입어 광산 기업의 배당금 증가세가 가장 빨랐다. 은행 등 금융주 역시 높은 배당률을 기록했다. 제너스 헨더슨은 “유럽의 배당금 증가의 절반 이상은 은행에서 나왔다”고 분석했다. 통신과 식품, 생활용품 부문은 한 자릿수 증가율을 유지했다.

반면 배당이 저조한 분야도 있었다. JP모건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광산업과 은행 자동차 제조업체의 배당이 늘어난 반면 헬스케어 및 유틸리티 등에선 배당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 기업 배당금 현황.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올해 전 세계 기업의 배당금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너스 헨더슨은 “올해 전체로 보면 전 세계 기업 배당금이 1조39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정부 지원프로그램과 대출 등을 통해 기업이 배당금 지급을 늘릴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사업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며 기업이 이익을 과감히 투자 등에 쓰지 못하면서 배당 규모가 커졌다는 시각도 나온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