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소하지만 매력적인 나무 플루트 소리 알리고 싶어"

김호정 2021. 7. 21. 00: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달 2일 독주회 여는 김유빈
"따뜻하고 어두운 소리 내는 악기
감정이 더 직접적이고 깊게 나와"
플루티스트 김유빈. [사진 목프로덕션]

세계적으로 유명한 제임스 골웨이를 비롯해 24K 순금 플루트를 쓰는 연주자가 꽤 된다. 밀도 높은 금을 통해 화려한 소리가 나기 때문. 순금뿐 아니라 합금, 은도 있다. 플루티스트들은 고민한다. 소리가 크고 빛나는 금이냐, 깨끗하고 밝은 소리의 은이냐.

플루티스트 김유빈(24)은 평소 금으로 된 플루트를 쓰지만, 이번에 나무를 골랐다. 다음 달 2일 서울 롯데콘서트홀 독주회는 바흐·헨델·쿠프랭 등 17~18세기 작곡가들의 음악을 들려주는 무대다.

플루트는 원래 나무였다. 금속으로 변신한 지금도 ‘목관’ 악기로 분류되는 이유다. 김유빈은 “재질이 금이나 은으로 바뀐 때는 불과 19세기다. 브람스 시대까지도 나무를 썼다”고 설명했다. 현대 플루트의 원조이자 전신이다.

김유빈은 베를린의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에 2016년 19세에 최연소 수석으로 임명되며 주목받았다. 한국에서 예원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로 떠나 리옹과 파리의 국립 고등음악원을 졸업했다. 옛날 플루트는 프랑스에서 만났다. “부전공을 정해야 해서 옛 악기를 골랐는데 현대 플루트와 완전히 달라 충격적이었다. 리코더처럼 구멍만 뚫려있고, 음정을 바꿀 수 있는 장치가 없어 낯설었다.” 이때 그가 불었던 악기가 플루트의 전신인 트라베르소(traverso). 바흐·헨델·텔레만 등 17세기 작곡가들이 특히 사랑했던 나무 플루트다.

쨍쨍하고 화려한 플루트와는 거리가 멀다. 김유빈은 바로 그 점에 매료됐다. “따뜻하고 어두운 소리를 내는 악기다. 감정이 보다 직접적이고 깊게 나온다”고 했다. 단점도 있다. 음량이 작고 음역대도 좁다. 김유빈은 “이 때문에 플루트는 고전, 낭만 시대에 가장 사랑받지 못한 악기가 됐다”며 “모차르트가 플루트를 싫어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트라베르소로 모차르트 음악을 불어보면 작곡가가 요구한 정확한 음정을 낼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작곡가들이 플루트를 다시 사랑하기 시작한 때는 19세기 말, 20세기 초반의 드뷔시·라벨 정도다.

따라서 김유빈이 나무로 소개하는 음악은 플루트가 가장 사랑받던 시대의 작품들이다. “바흐는 트라베르소로 소나타를 6곡이나 썼다. 헨델 등 모든 바로크 작곡가들이 소나타 6곡씩은 기본으로 썼다. 나무 플루트에는 그 시대에 꼭 맞는 감정이 있다고 본다.” 금속 악기로는 표현할 수 없는 모호한 음정, 소박한 음색 같은 것을 낼 수 있다.

이번 독주회에서 김유빈은 현대 플루트의 음정 시스템과 나무 재질을 결합한 우드 플루트를 쓴다. 소리는 트라베르소에 가깝고, 운지법은 현대 플루트와 같다. 김유빈은 “내가 매료됐던 나무 플루트의 소리를 알리고 싶다. 생소하지만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