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정의 시선]꿈틀대는 대선 판도..초한지? 삼국지? 열국지?

장세정 2021. 6. 21. 00: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단 이재명·윤석열 양강 각축전
최재형 가세하면 '삼국지' 양상
군웅 할거하면 '열국지' 될 수도
이재명 경기지사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 두 사람은 각각 변호사와 검사 출신이라 여의도 정치와는 거리가 멀지만 최근 각종 차기 대선 여론조사에서 양강 구도를 형성해 주목받고 있다. [중앙포토]

"초한지(楚漢志)에 비유하자면 유방(劉邦)처럼 서민 출신의 이재명 지사가 결국 귀족 출신 항우(項羽) 같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이길 것이다." 이재명 경기지사 진영에서 흘러나오는 희망 섞인 대권 시나리오라고 한다. 진시황(秦始皇) 사후에 다시 천하 패권을 놓고 군웅이 할거하던 진(秦)나라 말기와 내년 대선을 단순 비교해 나온 가설로 보인다. 사면초가 상태에 몰렸던 항우의 해하가(垓下歌)를 떠올리게 하는 정치 각본이다.

'이준석 현상'으로 정권 교체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잔뜩 고무된 보수 진영이라면 발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양자 대결을 가정한 여론 조사에서 5월 중순 이후 윤 전 총장이 줄곧 앞서는 상황인데, 이 지사가 결국 판세를 뒤집을 거라는 주장을 보수 진영은 불쾌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준석(오른쪽)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7일 국회에서 송영길 더불어민주당와 악수하고 있다. [중앙포토]

하지만 내년 3월 대선까지 아직 8개월 이상 시간이 남았고, 변수 또한 수없이 많기에 지금 시점에서 어떤 결과도 단언하기 어렵다. 누가 되든 당 내외에서 넘어야 할 고비가 그야말로 첩첩산중이다. 작은 이슈 하나에도 여론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요동치는 상황에서 누구도 쉽사리 낙승을 장담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렇다면 최근까지 여론조사를 기준으로 1, 2위를 달린다는 이유로 초한지 같은 대결이 재현될 거라고 보는 시나리오는 어디까지 타당할까. 또 다른 인물들이 급부상하면 삼국지(三國志)나 열국지(列國志) 구도로 재편될 가능성은 없을까.
외견상 경북 안동 산골 화전민 마을에서 자란 이 지사는 유방처럼 한미(寒微)한 가정 출신이 맞다. 반면 윤 전 총장은 교수 부모를 둔 중산층에서 태어나 서울 법대와 사법고시를 거쳐 검찰총장까지 줄곧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하지만 표면적으로 유사한 몇 가지 요소를 빼면 두 법조인을 유방과 항우에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다.

이재명 경기지사와 부인 김혜경씨. [뉴스1]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부인 김건희씨. [청와대사진기자단]

유방은 극적으로 항우를 꺾고 천하를 차지한 뒤 대풍가(大風歌)를 부르며 금의환향했다. 유방은 자신이 중국 역사상 최초의 평민 출신 황제가 된 비결을 인재 중용 리더십으로 설명했다. 즉, 유방 자신은 군수 행정 능력이 소하(蕭何)만 못 하고, 지략은 장량(張良)만 못하고, 전쟁은 한신(韓信)만 못하다며 삼불여(三不如) 주장을 폈다.
이 지사가 유방처럼 최고의 인재들을 모았는지, 인재를 충분히 활용하는 스타일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소년 노동자 출신으로 고입·대입 검정고시와 사법시험을 통과했고, 시민운동에 참여한 변호사 경력을 살려 성남시장과 경기지사에 당선된 입지전적 성공 스토리가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개인기로 수많은 고비를 넘으면서 만기친람(萬機親覽)형이 됐다는 말이 들린다.
유방은 항우에 대해 "측근 범증(范增)조차 중용하지 않았다"고 꼬집었고, 장량은 "항우가 자신의 능력만 믿었다"고 혹평했다. 윤 전 총장 주변엔 서울법대와 검찰 출신 등 각계 엘리트들이 몰려들고 있다고 한다. 한 충암고 동기생은 "본고사 시절 대입 우수반에서 석열이가 어려운 수학 문제를 제일 잘 풀었다. 그만큼 치밀하고 신중한 성격"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조국 사태를 겪으면서 윤 전 총장의 리더십이 엘리트의 독단에 갇혀 있는지, 인재를 중시하고 포용할지는 검증 대상이다.

최재형(오른쪽) 감사원장이 2019년 11월 당시 김오수 법무부 차관과 국회 법사위원회에 출석한 모습. 문재인 대통령의 청와대는 김 차관을 감사원 감사위원으로 제청하길 원했으나 최 원장은 감사원의 정치적 독립성을 내세우며 버티다 끝내 거절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스1]

차기 대선은 양자가 다투는 '신 초한지' 양상으로 흘러갈 수도, 여차하면 다자구도로 급변할 수도 있다. '다크호스' 최재형 감사원장이 조만간 출마를 결단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다. 그럴 경우 천하대세는 제갈량(諸葛亮)의 삼분지계(三分之計)가 필요한 '신 삼국지'로 바뀔 수도 있다. 기존 여당 주자들(이낙연·정세균·박용진)과 야당 잠룡들(유승민·원희룡·홍준표)이 치고 올라오면 춘추전국시대 '신 열국지' 양상으로 갈 수도 있다.
예나 지금이나 민심이 천심이다. 결국 대권 향배는 민심이 어디로 쏠리느냐에 따라 판가름날 것이다. 자고로 민심은 먹고사는 문제, 즉 민생을 제일 중히 여긴다. 부동산 실정으로 내 집 마련 꿈을 날리고 절망하는 가정, 생계를 해결할 일자리가 없어 떠도는 청년 세대, 연애도 결혼도 출산도 포기한 젊은 남녀들을 고통에서 구할 '진짜 영웅'은 누구인가. 좌우 양극단으로 갈라진 나라를 통합할 비전과 역량을 갖춘 지도자는 누구인가.
누구든 내년 3월 9일 밤에 웃으려면 이런 핵심 질문에 분명하고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단지 더 큰 권력을 탐해서 대선판에 뛰어든다면 기존 명성도 허물어지고 세상의 비웃음거리가 될 수 있다. 의미 없이 명멸한 수많은 유성(流星·별똥별)을 보면서 우주의 이치와 역사의 경고를 읽어야 할 것이다.

장세정 논설위원

장세정 논설위원 zha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