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바이든에 축전 "한미는 혈맹관계..동맹·파트너십 강화해야"

최현욱 2021. 1. 27. 01:0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선 외교통 박진, 조 바이든 미 대통령에 축전 보내
친분관계 주목..2008년 방미해 1대1 회동 가지기도
"예측가능·호혜적·공통 가치 입각한 동맹 강화해야
한미동맹, 민주주의·다양성·번영 발전시키고 있어"
지난 2008년 7월 31일 대한민국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 자격으로 조 바이든 당시 미 상원 외교위원장 집무실에서 회동을 가진 박진 국민의힘 의원 ⓒ박진 의원실 제공

국민의힘 외교안보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진 의원이 조 바이든 미국 신임 대통령에게 지난 20일 보낸 축전의 내용을 26일 공개했다.


4선 중진의 외교통 박진 의원은 현 정치권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밀접한 교분을 가진 인사들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2008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 자격으로 방미해 당시 미 상원 외교위원장이었던 바이든 대통령과 1대1 단독 회동을 가졌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박 의원은 축전에서 "이번 대통령 선거는 자유, 민주, 인권, 법치로 대표되는 미국의 정신이 활력적이고 강인하다는 것을 보여준 미국 국민의 영광스러운 승리였다"며 "'미국이 돌아왔다'라는 대통령님의 메시지는 새로운 국가 통합의 인식, 동맹에 대한 존중, 그리고 미국의 모범의 힘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저는 이 기회에 지난 2008년 7월, 상원 외교위원장이셨던 대통령님의 집무실에서 영광스러운 만남을 상기 하고자 한다"며 "저는 대통령님의 따뜻한 환영과 한미동맹에 대한 강력한 지지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돌아봤다.


그는 "저는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을 거친 후 서울 강남구의 한 지역을 대표하는 4선 의원으로서 다시 정치 일선으로 돌아왔다"며 "우리 두 나라는 지금 이 시점에서 중대한 공통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한국은 코로나19 팬데믹 극복과 경제회복이 당면과제다. 한국과 미국은 공통의 도전에 직면해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힘을 합쳐야 할 것"이라며 "한국과 미국은 한국전쟁 당시 우리 국민들이 흘린 피와 희생을 통해 맺은 혈맹 관계인 동시에 성공적인 자유무역 (FTA) 파트너입니다. 어려울 때 돕는 친구가 진정한 친구"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는 전지구적인 규모의 코로나19 팬데믹의 위기와 필사적으로 싸우고 있다. 미국은 국민들에게 백신 접종을 적극 수행 중이고, 한국은 검증되고 신뢰할 수 있는 백신의 공급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코로나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한 백신 생산과 공급의 시급성을 고려할 때 우리 두 나라가 한미 FTA 제5장에 따라 백신 개발과 접근을 촉진하는 파트너십을 맺는 것이 급선무다. 한국의 바이오제약회사들은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제조하는데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고, 저는 양국간에 “백신 스와프”도 가능하고 바람직하다고 믿는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한국과 미국은 경제협력과 안전보장에서도 예측가능하고, 호혜적이며, 공통의 가치에 입각한 동맹과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며 "양국 간 무역, 투자의 증대는 두 나라의 일자리 창출과 중산층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한국은 미국의 여섯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로. 한국 기업들의 대미 직접투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금융, 의료, 교육, 법률 서비스 분야 교류와 이에 대한 상호 기여도 계속 확대되어야 한다. 인공지능, 5G 기술, 재생/청정에너지, 기후변화 분야의 협력 강화도 중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반도 안보 문제와 관련해 박 의원은 "안전 보장 분야에서 북한의 도발 억제를 위한 강력한 한미연합방위력 유지는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관건적인 전제조건"이라며 "북한의 재래식 군비와 전술핵 미사일 개발은 한국에 직접적인 위협이고, 대륙간 탄도 미사일과 잠수함 발사 탄도탄은 미국에 분명하고 현존하는 위험이다. 한미 간 북한의 군비감축과 비핵화를 위한 긴밀한 공조는 최우선 과제로, 한미 간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협상도 양측이 수용 가능한 합의에 조속히 도달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박 의원은 "한미동맹은 글로벌지구촌의 평화와 번영에도 적극 기여해야 한다. 대통령님께서 옳게 강조하신 것처럼 한국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핵심축' 으로 양국 간 협력은 포괄적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발전했다"며 "이러한 파트너십은 민주주의와 자유무역, 그리고 규범에 기반한 질서와 인권을 계속 옹호할 것이다. 그것은 또한 한미동맹이 중국의 부상이라는 충격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바이든 대통령이 제안한 전 세계적 '민주주의를 위한 정상회의'에 대해 박 의원은 "이 정상회의는 독재정권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을 보호하는 것을 구현할 것"이라며 "미국과의 연대에 대한 비전은 한국, 일본, 호주,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의 뜻을 같이 하는 민주주의 국가들과 함께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영국이 오는 6월 개최할 예정인 '민주주의 10개국(D10) 정상회의는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 의원은 "한미동맹은 평화적인 남북통일에 기여해야 한다. 한반도가 분단된 지 76년이 지났는데, 북한의 전체주의 정권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자유와 인권을 체계적으로 억압하고 있는 것"이라며 "대통령님께서 2013년 12월에 손녀와 함께 헬기를 타고 서울 북쪽에 있는 비무장지대를 방문했던 것을 기억하실 것이다. 비무장 지대 건너편에 있는 2600만명의 북한 주민들은 자유와 외부세계의 정보가 결여된 세계에서 살고 있는데, 우리는 이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과 자유에 대한 신념을 주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대선 직후 필라델피아 한국전 참전 기념비에 헌화했던 것을 거론하며 박 의원은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기리신 것에 대해 대통령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그들이 용맹하게 싸운 가치를 배신하지 않겠다는 대통령님의 다짐은 많은 한국 국민의 공감과 마음을 얻었다"고 했다.


박 의원은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가치에 기반한 통일을 이룩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북한 주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그들에게 필요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참담한 인권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 북한 사회가 내부로부터 스스로 변화하도록 고통받는 북한 주민들에게 영감을 주는 것이 한미동맹의 목표라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할 것"이라고 구상을 밝혔다.


아울러 박 의원은 "미국 의회는 지난해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아시아와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동맹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는 결의안과 260만 명의 한인사회의 역할을 평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또한 네 명의 한국계 후보자들이 자랑스럽게 2021년 미국 하원에 선출되어 우리의 동맹은 민주주의, 다양성, 그리고 번영을 계속 발전시키고 있는 것"이라며 "다시 한 번 값진 승리와 역사적인 취임을 축하드린다. 바이든 대통령과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 그리고 미국 국민들에게 신의 은총이 함께 하기를 기원한다"고 축전을 마쳤다.


다음은 박진 의원이 조 바이든 미 대통령에게 보낸 축전 원문.


Dear President Joe Biden,


Allow me to express my heartfelt congratulations on your election and inauguration as the 46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ogether with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The presidential election was a glorious victory won by the American people, demonstrating that the American spirit, representing freedom, democracy,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remains vibrant and resilient. Your message, "America is back," signifies the renewed sense of national unity, respect for alliances, and the restoration of U.S. global leadership based on the power of example.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recall the honor of meeting you in July 2008 in your office when you served as the chairman of the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I was greatly impressed by your warm welcome and strong support for the ROK-U.S. alliance. This was right before you accepted the vice presidency, a critical juncture in your outstanding political service.


As for myself, I have served as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Trade and Unification. I have recently returned to political service, as a four-time elected Assembly member representing the second constituency in Gangnam-gu, Seoul.


Our countries are facing critical, common challenges at this moment in time. Korea's most pressing issues are also overcoming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inducing economic recovery. Given our shared challenges, it is vital that we prioritize joining forces to resolve these issues.


Korea and America are blood allies bonded through the shared bloodshed and sacrifices of our peoples during the Korean War. Moreover, we are partners in our successful free trade agreement. A friend in need is a friend indeed.


Mr. President, we are actively coping with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spreading on a global scale. The U.S. is now proactively implementing vaccinations of its people, while Korea is eagerly awaiting a supply of authorized and reliable vaccines.


Given the urgency of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vaccines to battle the coronavirus, it is imperative that our two countries construct a partnership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nd facilitating access to vaccines pursuant to Chapter Five of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KORUS FTA).


Korea's biopharmaceuticals have sufficient capability in the manufacturing of the COVID-19 vaccine. I believe that a "vaccine swa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also possible and desirable.


Korea and America must reinforce our alliance and partnership in economic cooperation and security assurances, based on the tenets of predictability, reciprocity and common values.


Expanding bilateral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our countries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jobs, and restoration of the middle class for both our countries. Currently, Korea is the sixth-largest trade partner of the U.S. Korean companies' direct investment in the U.S. continues to grow.


Further bilateral commitments and exchanges in services in the areas of finance, health, education and law must be encouraged. Moreover, greater cooper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5G technology, renewable/clean energy and climate change is essential.


In relation to security assurances, the maintenance of the strong ROK-U.S. combined defense posture, as a deterrent against North Korea's provocations, is a key precondition for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s conventional armaments and the development of tactical nuclear missiles pose direct threats to South Korea while the intercontinental and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s constitute a clear and present danger to the U.S.


It is of critical importance that we foster close coordination between our countries through sanctions and persuasion to achieve disarmament and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 defense cost-sharing negotiations for U.S. troops stationed in Korea must reach a mutually acceptable agreement at the earliest opportunity.


The ROK-U.S. alliance should also actively contribute to the peace and prosperity of the global community. As you rightly emphasized, Korea serves as the "linchpin of the Indo-Pacific region." Bilateral cooperation has evolved into a comprehensive global partnership. This partnership shall continue to advocate for democracy, free trade, rules-based order and human rights. It will also empower the alliance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impacts of the rise of China.


Mr. President, you have proposed that, upon your inauguration, the U.S. would take the initiative to convene a global "Summit for Democracy." This summit would embody the protection of liberal democracies and human rights from the threats of authoritarian dictatorships. The vision for U.S. solidarity should be discussed with like-minded democracies in Asia, including Korea, Japan, Australia and India. The "Democracy 10" summit to be organized by the U.K. in June will set the right direction.


The ROK-U.S. alliance must achieve a peaceful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It has been 76 years sinc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s totalitarian regime continues to systemically repress freedom and human rights while it strives to remain in power. You may recall your visit to the Demilitarized Zone (DMZ), north of Seoul, in a helicopter with your granddaughter in December 2013.


There are 26 million North Koreans on the other side of the DMZ who live in a world devoid of human freedom and information about the outside world. We should provide hope for the future and faith in freedom for them.


You and Dr. Jill Biden laid a memorial wreath at the Korean War Memorial Park in Philadelphia days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We are deeply grateful to you for honoring the sacrifices of all veterans of the Korean War. Mr. President, you have won the sympathy and hearts of the Korean people when you pledged to never betray the values for which they so bravely fought.


Korea should achieve unification based on the values of a liberal democracy, by fulfilling the North Koreans' right to information, extending necessary humanitarian assistance to them and alleviating their dire human rights situation. We must ensure that this is the goal of the ROK-U.S. alliance ― to inspire the suffering North Koreans to create change within their own society.


On the occasion of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last year, the U.S. Congress passed two milestone resolutions: one, underscoring the crucial role of the alliance for peace and stability in Asia and the world, and two, recognizing the roles of the vibrant 2.6 million-strong Korean community in the U.S. Four candidates of Korean descent were proudly elected to the 2021 U.S.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alliance continues to grow and foster democracy, diversity and prosperity.


Once again, Mr. President, I convey to you my sincere and heartfelt congratulations on your worthy triumph and historic inauguration.


May God bless you and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and may God bless the American people.


Most respectfully,

Park Jin

데일리안 최현욱 기자 (hnk0720@naver.com)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