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청약 대박?..IPO 진짜 최대어는 크래프톤

권오용 2020. 9. 8. 07: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매출 벌써 1조 육박, '배그 모바일' 글로벌 흥행 지속, 김창한발 변화·도전에 미래 성장성 기대도

카카오의 게임 전문 회사인 카카오게임즈가 기업공개(IPO)를 위한 청약에서 대박을 치면서 중견 게임사 크래프톤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주력 게임인 ‘플레이어언노운스 배틀그라운드’가 PC·모바일 등 다양한 플랫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어 IPO를 할 경우 카카오게임즈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올해 실적이 고공행진 중이며 조직 개편으로 내실도 다지고 있다. 크래프톤이 당장 IPO를 해도 역대 최대 흥행 기록을 세우는 것이 이상하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생각이다.

IPO 대박 친 카카오게임즈

카카오게임즈는 최근 공모주 청약에서 증거금이 60조원에 육박했다. 지난 1일과 2일 이틀간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청약에서 58조5543억원이 몰렸다. 첫날 16조4000억원에 이어 둘째 날에는 42조1000억원이 추가로 주관사 청약 계좌로 쏟아졌다.

이번 증거금은 지난 6월 24일 SK바이오팜이 세운 최대 증거금 30조9899억원의 2배에 달하는 것이며 국내 IPO 역사상 최대 기록이다.

카카오게임즈는 10일 코스닥에 정식으로 상장된 이후 ‘따상(시초가가 공모가의 2배로 결정된 후 상장 첫날 상한가)’도 기대된다. 이럴 경우 첫날 상한가는 6만2400원이 된다. 최대 시초가 4만8000원(공모가 2만4000원의 2배)에 가격제한폭 30%를 적용한 것이다.

카카오게임즈가 코로나19 사태에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 업체를 제치고 청약에서 초대박을 친 이유로는 시중에 넘쳐나는 유동성과 SK바이오팜 학습효과, 코로나19 수혜업종 중 하나인 게임업이라는 점 등이 꼽힌다.

게임이 코로나19 수혜주라는 점은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난달 초 발표한 '2020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 확대와 함께 게임 이용시간 및 지출비용이 늘어났다. 게임 분야별로 이용 시간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모바일 게임이 47.1%로 가장 높았고, PC 게임(45.6%), 콘솔 게임(41.4%) 등도 40%대였다. 지출비용을 분야별로 보면, 모바일 게임은 비용이 늘었다는 응답(40.8%)이 줄었다는 대답(10.3%)의 4배 수준이었다. PC 게임도 증가(38.7%)가 감소(12.5%)보다 많았다.

카카오게임즈는 이런 분위기 속에서 올해 상반기 매출이 전년보다 8.2% 증가한 2030억원, 영업이익은 63.7% 늘어난 287억원을 기록, 코로나19 수혜업체라는 점을 증명했다.

IPO 진짜 최대어는 크래프톤

카카오게임즈의 IPO 대박 소식에 일찌감치 IPO 추진 의사를 밝혀온 크래프톤이 ‘진짜 최대어’로 주목받고 있다. 상장 시 카카오게임즈보다 몇 배는 높게 평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A 게임사 관계자는 “크래프톤은 카카오게임즈보다 파워풀한 주력 게임을 갖고 있다”며 “특히 전 세계적으로 어필하고 있어 IPO 시 초대박이 가능해 보인다”고 말했다.

B 게임사 관계자는 “몇 달 전 장외시장에서 크래프톤 주식이 55만원 정도에 거래됐는데, 요즘은 110만원까지 뛴 것으로 안다”며 “가장 핫한 게임사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크래프톤이 이처럼 높게 평가받는 데는 올해 실적이 한몫하고 있다.

.

크래프톤의 올 상반기 매출은 8872억원, 영업이익은 5137억원이다. 매출은 작년 한 해 치(1조874억원)에 근접했고, 영업이익(3593억원)은 훌쩍 뛰어넘어 42.9% 증가했다. 반년 사이에 엄청난 실적 상승이 이뤄진 것이다.

이 실적은 넥슨·엔씨소프트·넷마블 등 3N사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특히 상반기 영업이익에서는 엔씨(4504억원)와 넷마블(1021억원)보다 많다.

B사 관계자는 “크래프톤은 상반기 흐름이 하반기까지 이어진다면 2조원에 육박하는 매출이 가능할 것이다”며 “영업이익은 1조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크래프톤의 호실적은 글로벌 히트 게임인 배틀로얄 게임인 ‘배틀그라운드(이하 배그)’에서 나온다.

1명이 생존할 때까지 싸우는 배틀로얄 게임 장르를 처음으로 연 배그는 2017년 PC 정식 버전이 출시된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7000만장 이상 팔리며 크래프톤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여기에 2018년 5월 출시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이 크래프톤 실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실적(매출 5082억원, 영업이익 3524억원)이 급격히 상승한 것은 중국 모바일 시장에서 큰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배그 모바일 유저가 출시 이후 꾸준히 늘었다. 작년 말에는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수가 6억건을 기록했다”며 “폭발적인 글로벌 호응으로 모바일 매출 비중이 70~80%로 PC를 역전했다”고 말했다.

A사 관계자는 “올해 실적이나 보유 IP를 보면 카카오게임즈는 크래프톤에 게임이 안 된다”며 “크래프톤이 지금 당장 IPO를 해도 빅히트를 칠 것이다”고 말했다.

상장 시기는 아직 미지수…김창한발 변화·도전 긍정적

크래프톤은 IPO 시 초대박이 예상되지만 언제 추진될지 미지수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IPO를 추진한다는 것이 회사의 기본 입장이다”며 “하지만 그 시기는 현재로써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만 크래프톤은 지난 6월 배그 개발자로 자회사인 펍지를 이끌던 김창한 대표가 취임한 이후 ‘제작 명가’로의 재도약이라는 경영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 조직을 재정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달 블루홀을 제작 스튜디오로 독립시켜 ‘테라’ ‘엘리온’ 등 대형 MMORPG 개발을 맡겼다.

독립 스튜디오들은 다양한 장르의 신작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배그 의존도가 높은 크래프톤의 약점을 보완한다.

크래프톤은 또 자체 IP 사업 확장 차원에서 드라마 ‘미생’ ‘시그널’ 등을 만든 PD 출신인 이재문 대표가 설립한 제작사 히든시퀸스에 투자했다. 배그 등 IP를 활용한 드라마·영화 등의 영상 콘텐트를 제작하고 게임 제작을 위한 오리지널 IP를 발굴하겠다는 계획이다.

업계는 김창한 대표 취임 이후 크래프톤의 이런 변화와 도전이 IPO에는 긍정적이라고 봤다.

C 게임사 관계자는 “크래프톤은 단점은 배그에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런 변화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면 기업 가치를 더욱 높아질 것이다”고 말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