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권,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하나

노석철 2020. 7. 21. 04: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과 신장위구르 소수민족 인권탄압 등을 이유로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보이콧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0일 보도했다.

캐나다와 미국, 스웨덴 등 동계올림픽 강국들과 중국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보이콧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위구르 탄압·홍콩보안법 이유 美·加·스웨덴 등 불참 가능성
사진=AP뉴시스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과 신장위구르 소수민족 인권탄압 등을 이유로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보이콧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0일 보도했다. 캐나다와 미국, 스웨덴 등 동계올림픽 강국들과 중국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보이콧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SCMP에 따르면 베이징올림픽 보이콧은 대중 강경론자인 미국의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과 릭 스콧 상원의원이 주도하고 있다. 루비오 의원은 2018년 신장위구르자치구 인권탄압을 이유로 베이징의 개최권 박탈을 주장했고, 스콧 의원은 2021년 1월까지 신장 지역 인권이 개선되지 않으면 개최국 교체를 요구하도록 하는 법안을 지난 3월 발의했다.

여기에 홍콩보안법 시행을 계기로 미국이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등 ‘파이브 아이즈’(영어권 5개국 정보기관 네트워크) 국가들과 대중 전선의 결속력을 높이고 있는 점도 변수가 되고 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전체 금메달의 절반 이상을 휩쓴 노르웨이 독일 캐나다 미국 네덜란드 스웨덴 6개국 가운데 중국과 ‘앙숙’인 나라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옥스퍼드대 중국센터의 조지 마그누스 교수는 “메달 상위권 국가들의 불참은 중국에 분명 고통스러울 것”이라며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잠재적 화약고’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캐나다 출신의 딕 파운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은 최근 “올해 일본 도쿄 하계올림픽이 연기되거나 취소되면 베이징올림픽도 취소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방 국가들은 코로나19 책임론을 놓고도 중국과 각을 세우고 있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보이콧 움직임에도 영항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황옌중 미국외교협회(CFR) 연구원은 “내년 가을까지 코로나19가 진정되지 않으면 좌절과 분노가 커지면서 올림픽 보이콧 움직임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미·중 갈등이 올림픽 보이콧을 넘어 군사 충돌로 이어질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그레이엄 앨리슨 하버드대 교수는 “2020년의 남은 기간은 1941년 미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일(진주만 공습)이 재현될 것인지 시험하는 기간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호주 전략정책연구소의 맬컴 데이비스 선임연구원은 “중국은 미국이 반격하지 않을 것이라고 오판해 영토 분쟁을 무력으로 해결하려는 유혹에 끌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