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끝판왕' 文정부.."이번이 몇번째 대책이라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억원 넘는 집 대출 금지' '집있는 사람(9억원 이상) 전세대출보증 금지' '주택매매시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등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시장 관련 대책은 노무현정부 당시를 능가할 정도로 고강도다.
노무현정부 때는 5년간 30회 정도 대책이 나온 점을 감안하면 문정부도 앞으로 수차례의 규제방안을 더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정수영 기자] ‘15억원 넘는 집 대출 금지’ ‘집있는 사람(9억원 이상) 전세대출보증 금지’ ‘주택매매시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등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시장 관련 대책은 노무현정부 당시를 능가할 정도로 고강도다.
참여정부 당시 처음 나온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를 되살렸고 종합부동산세 세율을 대폭 강화했다. 대출금지나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등은 현 정부 들어 처음 나왔다.
특히 지난해 연말 나온 12·16 대책은 ‘규제 끝판왕’이란 별칭이 붙을 때도로 센 규제였다. 투기과열지구 내 15억원이 넘는 고가주택에 대해서는 아예 대출을 중단시켰고, 9억원 넘는 주택도 ‘9억원 초과분’에 대해선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20%까지만 인정했다. 9억원 넘는 집을 가진 유주택자는 전세대출도 받을 수 없게 했다.
문정부 들어 나온 주택시장 규제 방안 발표는 미세조정부분까지 모두 포함하면 약 30개가 넘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시장 통제를 위해 범정부 대책이라고 꼽을 만한 것은 20회 정도다. 노무현정부 때는 5년간 30회 정도 대책이 나온 점을 감안하면 문정부도 앞으로 수차례의 규제방안을 더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들어서는 지난해 연말 12·16 고강도 규제대책의 후속조치인 ‘2·20 수도권 조정대상지역 강화 대책’이, 지난 5월6일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등이 나왔다. 시장에선 12·16대책을 18번째 공식대책으로 부른다. 이를 감안하면 17일 발표예정인 규제안은 21번째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정부가 내놓은 규제대책 약발은 길어야 6개월, 짧게는 2~3개월에 그쳐 매번 추가규제대책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규제가 규제를 부른 셈이다.
심교언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유동성이 많을 때는 대도시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데, 우리나라는 대도시를 틀어 막으니 중소규모 도시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며 “어쩔 수 없이 중소도시까지 막아야 하는 상황이 된 것으로, 기초체력이 약한 가운데 규제를 강화하면 지역경제가 받는 충격은 가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수영 (grassdew@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상) 속전속결 北, 사흘 만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 통합당, 강제배정 '후폭풍'..상임위원 전원 사임
- 손정우, 한국에선 복역 후 44억..눈물 호소한 날 '총공'
- 98억 리모델링 남북연락사무소, 19개월만에 사라져
- 이성미 "유방암 수술만 10번..잘 죽는 게 꿈"
- 北 모자란 멍청이 文대통령 조롱 댓글 노출
- 152명 확진 쿠팡·추가 확진자 없는 롯데택배..차이점은
- MBC 기자 "박사방은 취재용, 폰은 분실" 결국 해고
- 창녕 학대 아동, 비좁은 물탱크실에 7시간 숨어 있다 탈출
- 이마트 노조 3년간 임금 600억원 안 줘..소송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