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전매 걸리면, 10년동안 청약 못해..분상제에선 5년 살아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불법 전매 적발시 10년간 청약을 제한하고 분양가상한제 적용 주택엔 5년 주거를 의무화하는 주택법 개정안을 추진한다.
2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0년 주거종합계획'에 따르면 국토부는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관리를 위해 주택법 개정을 통해 불법 전매 시 10년간 청약을 제한하고 수도권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 거주기간을 최대 5년까지 의무화할 방침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택공급활성화지구·가로주택정비사업 분상제 제외 등 공급대책 추진
(세종=뉴스1) 김희준 기자 = 정부가 불법 전매 적발시 10년간 청약을 제한하고 분양가상한제 적용 주택엔 5년 주거를 의무화하는 주택법 개정안을 추진한다. 투기과열 우려가 있는 개발지역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2023년 이후 매년 25만가구 공급을 위한 대책도 꾸준히 추진한다.
2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0년 주거종합계획'에 따르면 국토부는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관리를 위해 주택법 개정을 통해 불법 전매 시 10년간 청약을 제한하고 수도권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 거주기간을 최대 5년까지 의무화할 방침이다. 법안을 통해 임대사업자의 등록요건도 강화하고 임차인 보증금 피해 방지대책도 마련한다.
투기규제를 위한 부동산 시장 감독과 선제적 대응도 추진된다. 앞서 국토부는 실거래 신고기간을 지난 2월부터 거래 후 60일에서 30일로 단축하고 3월엔 주택매입 자금조달계획서의 제출지역 확대와 증빙자료 제출을 의무화했다. 이어 용산정비창 인근 토지거래허가구역과 같이 개발사업에 따른 투기우려가 있는 지역엔 선제적인 추가 지정도 추진한다.
부동산시장 불법행위 대응반과 주택시장 모니터링을 통해 이상거래도 상시 단속한다. 분양가 관리를 위해선 이달부터 건축 가산비 심사기준 마련해 분양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심사 실효성을 높인다.
오는 2023년부터 수도권에 연평균 25만가구 이상을 공급할 수 있도록 주택공급활성화지구 제도 도입, 공공참여 가로주택정비사업 분양가상한제 적용제외 등 관련 제도개선을 연내 완료한다.
특히 수도권 30만가구의 공급 추진을 위해선 3기 신도시 4곳(남양주·하남·인천·고양)을 포함한 21만가구의 지구를 지정했다. 상반기 중엔 4만가구의 지구지정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h991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얼굴보면 다 아는 그 에로배우 "옷 갖춰 입고 방송한 적 없다"
- 박뱅 탑·김가빈 '같은 잠옷' 럽스타그램? "사생활 확인 불가"
- 진중권 "날조에 도 튼 사람들..秋까지 나서 한명숙件 뒤엎기"
- '돌싱' 박은혜·이지안·박현정, 男연예인들과 단체미팅..상대는
- 이민정, 그날 이태원 파티 참석?.."청담동서 선물만 전달"
- 하리수 "뭐가 잘났다고 갑질이냐, 나가 죽어"
- 함소원, 박명수 뒷걸음질 치게한 파격 원피스
- 핫펠트 "수능 국어 1등급..전교 10위권 성적"
- 김수미 "남편, 중환자실行..주저앉아 울었다"
- 유재석 "나눔의집 기부 했는데..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