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發 '용산통개발 사태' 잊었나..후폭풍 까먹고 또 뒷북치는 국토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용산 부동산 시장에 지난 2018년 박원순발 통개발 사태의 후폭풍이 재현될 조짐이다.
정부가 지난 6일 투기 수요 방지 대책도 없이 불쑥 용산 정비창 부지에 8000가구급 미니신도시를 짓겠다고 발표하면서다.
1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5·6 수도권 공급 대책이 발표된 직후 2∼3일간 용산 정비창 부지와 인접한 단지의 부동산 공인중개업소들은 일시적인 업무 마비를 겪었다.
용산 정비창 부지 바로 앞에 위치한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도 대책 발표 이후 매수 문의가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서울 용산 부동산 시장에 지난 2018년 박원순발 통개발 사태의 후폭풍이 재현될 조짐이다. 정부가 지난 6일 투기 수요 방지 대책도 없이 불쑥 용산 정비창 부지에 8000가구급 미니신도시를 짓겠다고 발표하면서다. 대형 호재에 한동안 잠잠했던 용산 일대 주택 시장이 달아오를 조짐을 보이자 부랴부랴 투기 억제책을 내놓겠다고 했지만, 이미 불붙은 가격 상승세를 진화하긴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1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5·6 수도권 공급 대책이 발표된 직후 2∼3일간 용산 정비창 부지와 인접한 단지의 부동산 공인중개업소들은 일시적인 업무 마비를 겪었다.
정비창 부지와 가까운 서부이촌동 중산시범아파트 일부 집주인들은 급매물 회수에 나섰고 "이번에는 정말 개발되는 건지", "투자성은 얼마나 되는지" 등을 묻는 전화가 폭주했다. 정비창 부지와 대로 하나를 둔 용산동 5가와 동부이촌동 일부 아파트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됐다.
용산 정비창 부지 바로 앞에 위치한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도 대책 발표 이후 매수 문의가 늘었다. 서울 다른 재개발 지역보다 용적률이 높아 사업성이 좋은 데다, 교통·개발 호재가 많다는 이유로 지분 거래 시세가 크게 올랐다. 대지지분 3.3㎡당 시세는 단독주택이 8500만∼1억원, 다세대주택(빌라) 1억9000만∼2억원대다.
용산 정비창 부지는 워낙 입지가 좋다보니 예비 청약자들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처럼 용산 주택 시장이 다시 과열 조짐을 보이자 정부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 소식이 알려지자 용산 일대 부동산 중개사들은 아직 적극적인 매수 문의가 손에 꼽을 정도라며 과열 조짐을 일축했다.
매물이 많지 않을뿐더러 단순한 가격 문의만 있을 뿐, 당장 사겠다는 사람도 없다는 게 공인중개업소의 설명이다. 공인중개업소들은 정부 발표로 주말간 잠시 주택 시장 분위기가 들썩거렸으나 빠르게 진정될 것으로 관측했다. 일부 공인중개업소에서는 이미 발표 직후 쏟아졌던 매수 문의가 줄고 있다.
정비창 부지는 2006년 '한강르네상스' 사업과 연계해 사업비 31조원이 투입되는 용산국제업무지구로 개발될 예정이었다. 이듬해 연말 삼성물산 컨소시엄이 개발사업자로 선정됐고 2008년 서부 이촌동 주민들을 상대로 도시개발사업 동의서를 받기도 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무산됐다. 이후 2018년 박원순 서울시장이 '여의도·용산 개발 마스터플랜' 구상을 언급하면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재차 주목을 받았지만 정부가 시장 과열을 이유로 계획을 무기한 보류했다.
용산 아파트값은 통개발 사태로 롤러코스터를 탔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018년 6월 보합(0.00%)을 기록했던 용산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두 달 만에 0.45%까지 급등했다가 개발 계획 이 취소된 뒤 -0.02%로 급락했다. 이후 작년 6월까지 한동안 마이너스 하락장을 이어갔다.
정비창 부지 인근 집주인들은 정부의 이번 대책이 호재가 아닌 악재라며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당초 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과 비교해 경쟁력을 강화할만한 상업·업무 시설이 줄고 전체 8000가구 중 2000가구 이상은 임대아파트가 들어선다는 것은 얼토당토않은 소리라는 지적이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은 "정비창 부지에는 주거공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희소성이 높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다 하더라도 가격 상승을 막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장재현 본부장은 "정비창 부지를 규제하더라도 인근 아파트 단지의 가격이 호재로 급등하게 되면 새 아파트 분양가 자체가 높아져 '공공 아파트 공급'이라는 당초의 대책 취지도 무색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 발안제 통과 땐 좌파 조직 100萬 동원 사회주의적 개헌 가능" [박찬종 前국회의원에게 고견을 듣는다]
- 진중권, "정경심, 소설가보다 더 큰 창작의 고뇌에 시달렸을 것"
- 개그콘서트 또 폐지설, 제작진 "와전이다" 선 그었지만
- 미래통합당, '오거돈 성추행' 검찰 고발
- 정준영·최종훈 집단성폭행 가담 혐의 항소심 내주 연기.. 法, "피해자 합의 중요 요소 작용 안할 것"
- 김문수와 이준석의 밀당, 단일화 분위기 잡을까
- 바이든 前 美대통령, 전립선암 진단…"뼈까지 전이돼"
- 이르면 20일 한미 관세 실무협의… 자동차 등 품목별관세·비관세 조치
- SK오션플랜트, `한미 조선 동맹` 새 강자로 부상
- 美 공화당, 배터리 `세액공제`서 中 뺀다… 韓 입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