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서울시가 서울의 마지막 남은 노른자위 땅으로 손꼽히는 용산 철도정비창 용지(51만3000㎡)에 아파트 8000가구를 짓기로 했다. 정부는 앞서 재작년과 지난해 수도권 30만가구 주택공급 계획을 밝혔으나 서울 외곽 수도권의 3기 신도시 조성계획이 대부분이어서 서울 집값 안정에는 역부족이란 지적이 계속되자 도심 추가 공급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다만 용산정비창 용지는 10여 년 전 서울을 대표할 국제업무복합지구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던 곳으로 주택건설 확대로 인해 서울의 미래 먹거리 육성에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 목소리도 제기된다.
6일 국토교통부는 서울 도심에 2022년까지 총 7만가구의 주택 용지를 추가 확보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7만가구 공급계획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용산정비창 등 국공유 유휴용지 1만5000가구 △준공업지역 공장이전 용지 7000가구 △도심 공실 재활용 8000가구 △공공성 강화 재개발 2만가구 △소규모 정비사업(가로주택·자율주택) 1만2000가구 △역세권 민간주택사업 8000가구 등이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용산정비창에 주상복합아파트 8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용산정비창은 서울의 정중앙에 위치한 곳으로 교통이 편리하고 광화문·여의도·강남 등 주요 업무지가 모두 가까워 신규 주택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018년 하반기 용산정비창 일대 종합개발계획을 담은 '용산마스터플랜'을 내놓으려고 했으나 집값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정부 우려에 '집값 안정 때까지' 무기한 발표를 연기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서울 집값이 지난달부터 본격 조정 국면에 돌입하면서 용산정비창 개발 계획이 수면 위로 나온 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