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중앙] 공주 같지 않은 공주와 기사 아닌 기사가 벌이는 환상 모험

2020. 2. 3. 08: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 프린세스: 도둑맞은 공주
감독 올레 말라므 등급 전체 관람가 상영시간 88분 개봉 2월 5일
여기, 기사를 꿈꾸는 한 남자가 있습니다. 그의 이름은 루슬란. 배우의 아들로 태어나 마을 광장에서 잘 안 팔리는 연극을 하고 있죠. 아름다운 공주와 공주의 사랑을 노리는 나쁜 마법사가 등장하는 이야기는 친구 레스터가 쓴 거예요. 하지만 루슬란의 연극을 보던 꼬마들이 번쩍이는 갑옷을 입은 기사가 등장하자 환호성을 지르며 달려가 버리듯, 그 역시 멋진 기사가 되고 싶어 합니다.
한편 왕국의 성에는 하나뿐인 공주를 결혼시키려는 왕과, 모험을 바라는 자신을 이해 못 하는 아빠와 실랑이하는 딸이 있죠. 갑자기 세상을 떠난 엄마처럼, 아빠마저 사라졌을 때를 걱정하는 건 이해하지만, 공주는 주장합니다. “절 돌봐줄 누군가가 필요하지 않아요. 제 힘으로도 할 수 있다고요.”

더 프린세스 : 도둑맞은 공주

진정한 모험, 진정한 자유를 찾아 몰래 성을 빠져나온 공주 밀라는 한밤중에 불량배들에게 쫓기게 되는데요. 우연히 마주친 루슬란이 기사 행세를 하면서 밀라를 구해준 덕분에 두 사람은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동화처럼 사랑에 빠지게 되죠. 그때, 나쁜 마법사 체르노머가 회오리 돌풍을 일으켜 공주를 납치합니다. 체르노머는 사랑에 빠진 공주의 '마음'을 빼앗아 세상을 지배하려고 하거든요. 왕은 루슬란의 말을 믿지 않고 그를 감옥에 가두라 명령하고, 공주를 구해온 사람에게 결혼을 시킬 거라고 선언해요. 여러 나라에서 몰려온 왕자와 기사들은 앞다퉈 공주를 찾으러 가죠.
삼류배우, 어릿광대라고 무시당하는 루슬란이 공연하는 연극과 비슷한 줄기를 가진 이 이야기는 세계적인 작가 알렉산드르 푸쉬킨의 동화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더 프린세스 : 도둑맞은 공주’입니다. 현대적인 각색을 거쳐 더욱 흥미진진해진 스토리는 영화 ‘아쿠아맨’ 제작진의 합류로 화려하게 애니메이션으로 옮겨졌어요.

더 프린세스 : 도둑맞은 공주

‘루슬란과 류드밀라’는 러시아 오페라의 아버지로 불리는 M 글린카에 의해 1841년 오페라로 작곡되기도 했는데요. 지금까지도 세계 각국에서 연주되는 오페라 서곡을 비롯해 발레·뮤지컬·플래시 게임 등으로 재해석되는 등 큰 인기를 누렸죠. 원작 동화는 도둑맞은 공주 류드밀라를 찾아 나선 영웅 기사 루슬란의 신비하고 환상적인 모험이 주이지만 애니메이션 ‘더 프린세스 : 도둑맞은 공주’는 조금 다릅니다. 동화 속 전형적인 기사는 거리의 배우가 직업인 짝퉁 기사로, 수동적인 공주 캐릭터는 터프하고 능동적인 공주로 거듭나며 재미와 감동을 선사하죠.
영상 또한 뮤지컬·액션 등 장르를 넘나들며 관객들을 사로잡습니다. 특히 밀라 공주가 짝퉁기사 루슬란의 안내로 세상 구경을 하며 서로에게 사랑을 느끼게 되는 장면은 주제곡 ‘소리쳐(Shout It Out)’와 함께 펼쳐져 극 중 극으로 뮤지컬을 보는 듯해요. 이 노래는 섬세한 감정 표현과 시원한 고음이 매력적인 뮤지컬 배우 김소현과 따뜻한 음색에 뛰어난 가창력을 소유한 손준호 부부가 불러 더욱 화제죠.

더 프린세스 : 도둑맞은 공주

신비하고도 위험한 마법의 나라로 잡혀간 밀라 공주는 갇힌 채로 가만히 있지 않습니다. 사악한 체르노머의 성에서 탈출하기 위해 그의 투명모자를 빼앗고, 각종 음식 괴물들과 싸우는 장면은 여느 액션 영화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죠. 루슬란과 함께 마법의 나라로 떠난 박새 버디와 우연히 합류하게 된 조력햄스터 토리의 환상적인 조합은 스펙터클한 모험에 재치를 더해줍니다. 그밖에 예상치 못한 캐릭터들의 깨알 같은 유머도 즐길 수 있죠. 이러한 영화의 완성도에 힘입어 2019년 ‘칠드런 키노페스트’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받기도 했어요.
자신이 직접 선택하기 위해 어려운 상황도 불사하고 뛰어드는 밀라처럼 “어둠 속에서 난 언제나 저 멀리 모험을 꿈꿔”왔다면 함께해봐요. 어마어마한 집안 배경이나 학벌을 갖춘 기사보다도 더 진짜 기사 같은 용기를 발휘한 루슬란도 응원합니다. “이젠 자유롭게 세상을 느껴요, 그대.”
글=김현정 기자 hyeon7@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