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재 핸드폰사진관] 12월의 은행잎

권혁재 2019. 12. 1. 23: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91201 /서울 동대문/ 전문가기능/ ISO 50 / 1/30초
어느새 12월입니다.
어찌 이리도 시간이 빨리 흐를까요.

그런데 올해 은행잎의 시간은 유독 더디 가는 듯합니다.

12월인데도 노란 잎을 그득 매단 나무가 숱합니다.
겨울 속 저 홀로 가을 풍경입니다.

20191201 /서울 동대문/ 전문가기능/ ISO 50 / 1/20초
12월 첫날부터 비가 내렸습니다.
날씨 마저 차니 속절없이 은행잎이 지기도 합니다.
20191201 /서울 동대문/ 전문가기능/ ISO 50 / 1/50초
뜨끈한 어묵 국물 김이 모락모락 오르는 시간,
오색 파라솔 위에 툭 툭 한 잎씩 떨어집니다.
20191201 /서울 동대문/ 전문가기능/ ISO 50 / 1/80초
도시에 어둠이 밀려옵니다.
세상이 무채색으로 물들어갈수록
은행잎은 샛노랗게 물들어갑니다.
20191201 /서울 동대문/ 전문가기능/ ISO 50 / 1/13초
한껏 물을 머금은 데다 가로등 빛을 받은 터니
더 샛노랗습니다.
12월의 노랑이라 더 도드라집니다.
20191129 /서울 회햔동/ 전문가기능/ ISO 50 / 0.3초
20191129 /서울 회현동/ 전문가기능/ ISO 50 / 0.3초
이틀 전(11월 29일) 서울시 중구 회현동의 풍경입니다.
샛노란 나무가 한두 그루가 아닙니다.
20191129 /서울 남대문/ 전문가기능/ ISO 50 / 1/10초
20191129 /서울 서소문/ 전문가기능/ ISO 50 / 1/13초
그곳뿐만 아닙니다.
남대문, 서소문, 약수동, 압구정동 등의 도심에서도 샛노란 나무가 숱했습니다.
노란 그들, 여태 가을인가 봅니다.
20191201 /서울 동대문/ 전문가기능/ ISO 50 / 1/15초
20191128 /서울 약수동/ 전문가기능/ ISO 50 / 1/5초

20191128 /서울 약수동/ 전문가기능/ ISO 50 / 1/5초
20191129 /서울 회현동/ 전문가기능/ ISO 50 / 1/10초
참 요지경 세상입니다.
그래서 휴대폰을 흔들며 사진을 찍어 보았습니다.
나무, 자전거, 길바닥, 화단의 은행잎들이 빙글빙글 찍혔습니다.
‘은행잎 요지경’ 입니다.

휴대폰 카메라를 흔들며 사진 찍는 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설정에서 흔들림 보정 혹은 흔들림 방지 기능을 해제하십시오.

가급적 어두운 피사체를 찾습니다.
촬영 모드를 전문가 모드로 설정합니다.
ISO를 50으로 맞춥니다.
셔터스피드를 조절하여 적당한 노출이 되게끔 합니다.

양손으로 휴대폰 귀퉁이를 잡습니다.
찍을 대상과 휴대폰이 수평이 되게끔 합니다.
엄지로 셔터를 누릅니다.
(연속촬영 모드가 해제되어 있어야 합니다.
휴대폰 셔터는 손가락을 뗀 후에 비로소 사진이 찍힙니다.
손가락을 떼는 게 익숙지 않으면 음성촬영 모드로 촬영해도 됩니다.)

그 상태로 휴대폰을
위, 아래 45도 정도 수평 회전시킵니다.
수평 회전을 하면서 셔터 누른 손가락을 뗍니다.
이러면 빙글빙글 도는 요지경 사진이 액정에 담기게 됩니다.

대상과 셔터스피드, 흔드는 속도에 따라
천양지차의 결과가 나옵니다.
놀이 삼아, 재미 삼아 요지경 세상을 찍어 보십시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