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사진관]제주 덮친 태풍 솔릭, 곳곳 피해 속출

김상선 2018. 8. 23. 11: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19호 태풍 솔릭(SOULIK))이 23일 오후 14:00 현재 제주 서귀포 인근까지 접근해 섬 전체에 강한 바람과 함께 비를 뿌리고 있다. 당초 예정대로라면 오후쯤 제주 섬을 벗어나 북동쪽으로 향할 예정이었으나, 북진 속도가 시간당 4km로 느려지면서 태풍의 진로 방향과 그에 따른 영향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오전 3시 시속 16km로 이동하던 태풍이 오전 9시로 접어들면서 그 절반인 7km로 느려진 상태다.
제19호 태풍 솔릭이 제주도를 관통한 23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 해안가에 강한 파도로 떠밀려온 것으로 추정되는 등부표가 올라와 있다. 등부표는 항로를 안내하는 표지의 일종이다.[연합뉴스]
속도가 느려진 이유에 대해 기상청은 " 솔릭이 한반도에 머물러 있는 북태평양 고기압을 뚫고 올라오면서 이동속도가 점점 느려지고 있다"며"북서진하는 기존 방향을 바꿔 북동진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늦춰졌다"고 밝혔다.
기상학자들은 태풍의 진로와 속도 방향에 영향을 준 것으로 뒤늦게 발생한 제20호 태풍 '시마론'의 '후지와라 효과 때문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후지와라 효과'는 두 개의 태풍이 인접하면서 이동 속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현상이다. 이에 따라 기상청은 태풍의 이동속도가 느려지면서 예상 상륙지점과 시간 등 경로도 다소 유동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
'23일 지구의 대기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Earth Nullschool 연구소' 홈페이지 화면. 한반도를 향해 다가오는 태풍 '솔릭'과 그 뒤를 이어 북상 중인 태풍 '시마론'의 모습이 보인다.[연합뉴스]
솔릭은 당초 23일 오전 3시 전남 목포-24일 오전 1시 충남 보령-같은 날 오전 3시 전북 군산 등지로 수정 예보됐다. 태풍은 군산 지역에 상륙 후 충천과 충북지역을 지나 강원 속초 방향으로 나간 뒤 동해로 이동할 전망이다.
제19호 태풍 '솔릭'이 제주를 강타한 23일 오전 제주시 노형동 한 거리에서 강한 비바람이 몰아치는 궂은 날씨 속에 비옷을 입은 도민들이 위태롭게 횡단보도를 지나고 있다. [연]
한편, 태풍이 통과하고 있는 제주지역에 최고 7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침수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또 강한 바람으로 인한 피해도 속출했다. 제주 중문관광단지 내 야자수가 뿌리째 뽑히고 전선이 끊기면서 현재까지 서귀포시 안덕면, 대정읍, 표선면 등 6848가구가 정전됐다. 한전은 긴급 복구에 들어갔고 바람으로 인해 제주를 오가는 항공편 185편이 결항 됐다.
제19호 태풍 솔릭이 제주도를 관통한 23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대포동의 한 전봇대가 강풍에 쓰러져 있다. [연합뉴스]

제19호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향해 북상중인 23일 제주시 종합경기장 인근 하천에 있는 나무가 강풍에 부러져 있다.[뉴스1]

제19호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향해 북상중인 23일 오전 제주시 서사로 중앙분리대 일부가 쓰러져있다.[뉴스1]
제19호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향해 북상중인 23일 제주 서귀포시 천지동 한 마켓 간판이 강한 바람을 견디지 못하고 떨어져 있다.[뉴스1]
태풍 폭우에 불어난 하천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제19호 태풍 '솔릭'이 제주를 강타한 23일 오전 폭우로 인해 제주시 한라병원 앞 흘천의 물이 크게 불어 있다. [연합뉴스]

태풍에 침수된 도로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제19호 태풍 '솔릭'이 제주를 강타한 23일 오전 폭우로 인해 제주시 도령로 일대가 침수돼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