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별 마켓 랭킹] 순한 양주의 시대, 위스키 1위는?

전영선 2017. 10. 28.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입맛 변해 독주 기피
한때 잘 나가던 양주 수난
40도 이하는 위스키 아니라는
금기 깬 36.5도 사피루스 1위
경쟁사 저도주 출시 잇따라
올 연말 저도수 위스키 전쟁
36.5도 저도 위스키 '골든블루 사피루스'. 현재 1위
‘양주’ 즐겨 드시나요.

확실히 양주 전성기는 지난 듯합니다. 2012년 연간 220만 상자(1상자에 500㎖짜리 병 18 개입, 즉 9L) 이상 팔리던 양주가 불과 5년 만에 연간 110만 상자로 떨어졌습니다. 회식 자리에서 마시던 양폭(양주+맥주)은 부장님 이상 ‘어르신들’의 추억이 되었습니다. 90년대 들어 소주가 순해지기 시작했고 이후엔 맥주가 부드러워졌습니다. 이젠 거의 음료수 수준의 맥주가 인기입니다. 회사원들은 1~3차를 오가며 고주망태가 되기 직전까지 마셔야 끝나던 회식이 아니라 '저녁 식사를 겸한 1차'에서 끝나는 회식 문화에 익숙해졌습니다.

장기집권해 온' 윈저12'
양주업계는 비상입니다. 여기서 양주는 통상 스카치위스키를 지칭합니다. 한국에선 80년대 원액 수입 규제가 풀리면서 본격적으로 위스키를 마시기 시작했습니다. 그 전에 만들어지던 위스키는 위스키라기보다는 ‘위스키 맛 술’에 가까웠다고 하네요.

가수 최백호의 노래 ‘낭만에 대하여’에도 등장하는 60년대 대표 위스키 ‘도라지 위스키’에는 위스키 주정이 아예 들어가 있지 않았다고 합니다. 정부의 강한 원액 수입 제한 조치 때문에 생긴 일이죠. 어쨌든 수입 규제를 조금씩 풀어주다 드디어 진짜 위스키를 만들 수 있게 된 게 1984년인데, 당시엔 신문에 이런 단신 기사가 실렸습니다.

★…오는 7월 1일로 임박한 특급 위스키 시판을 앞두고 위스키 3사는 결전태세를 갖추기에 부산. 백화가 베리나인골드킹, 진로는 VIP, 오비 시그램은 패스포트로 각각 이름을 붙인 특급 위스키는 기존 국산 위스키가 몰트위스키에 주정을 블랜딩한 데 비해 주정 대신 그레인 위스키를 사용한 것으로 3사 모두 몰트 40%, 그레인 60%의 비율로 블랜딩한다. 위스키 3사는 시판에 앞서 각종 광고매체와 시내 곳곳에 입간판 등을 설치, 이름 알리기에 대대적으로 나서는 한편 판매망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 특급 위스키가 격은 기존 1급 위스키보다 10% 정도 비싸다. <중앙일보 1984년 6월 15일자 4면>

본격적인 위스키의 시대는 이렇게 시작됐습니다. 스코틀랜드 사람 외에 이토록 열심히 스카치를 마신 민족이 또 있을까 싶습니다. 양주를 주문하는 것이 멋져 보이는 시절이었기 때문일까요. ‘양주 폭탄’은 성공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했었기에, 너도 나도 양주에 맛을 들였습니다. 그런데 이젠 소비자 입맛이 많이 변했네요.

소주나 맥주와는 달리 위스키를 순하게 만드는 것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바로 위스키의 실존적 문제로 연결됩니다. 40도 이하의 위스키는 위스키의 본산인 스코틀랜드 내에서는 병입(보틀링) 작업을 할 수 없다고 합니다. 위스키로 쳐 주지 않는 것이죠.

1~3위 위스키 중 맏형. 1994년 '임페리얼12' 현재는 3위다.
골든블루는 2009년 이를 깨고 36.5도짜리 골든블루 사피루스를 내놓았습니다. 업계에선 시장 반응이 좋아도 “진짜 위스키는 아니다”는 말로 일축해 왔습니다. 12년산, 17년산처럼 연산을 표기하는 40도 이상의 위스키와는 체급이 다르다는 것이죠. 실제로 ‘출신지’도 다르고요. 사피루스는 다른 경쟁 위스키와 달리 스코틀랜드에서 병입하지 않고 호주에서 만들고 있습니다. 까다로운 40도 규정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왼쪽부터 더블유 시그니처 12, 골든블루 사피루스, 디-라이트 바이 임페리얼. 올 연말 본격 대결에 나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골든블루는 점유율을 끌어올리기에 성공했고 결국 지난달 1위 위스키에 올랐습니다. 경쟁사들도 더 이상은 가만히 있을 수 없지 않겠습니까. 잇따라 순한 위스키를 내놓고 있습니다. ‘윈저 12’를 만드는 디아지오 코리아가 23일 저도수 위스키 ‘더블유 시그니처 12’를 출시하고 노골적으로 ‘타도 사피루스’를 외치고 있습니다. 배우 현빈을 기용하는 등 이미지 메이킹과 마케팅에 공을 들이고 있죠. 1994년 출시된 ‘임페리얼12’가 대표주자인 페르노리카 코리아도 다음달 35도의 ‘디-라이트 바이 임페리얼’ 을 내놓고 저도주 경쟁에 뛰어듭니다.

저도주 전쟁을 시작한 골든블루도 가만히 있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어렵게 오른 1위 자존심을 걸고 역시 다음달 ‘사피루스 리뉴얼판’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주류 업계 ‘대목’인 연말연시를 앞두고 벌써 순한 양주들의 독한 대결이 시작됐습니다.

전영선 기자 azul@joongang.co.kr

이미지를 누르면 지난 '별별 마켓 랭킹 이건 몇등이니'를 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