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식의 야구노트] 한국 야구 투수 가뭄, 문제는 다리야

김식 2017. 8. 16. 01: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투수 출신 김성근·선동열의 진단
하체 힘 약해 중심 이동 잘 안 돼
회전력 부족으로 투구 위력 없어
팔로 어렵게 던지니 툭하면 부상
웨이트로 상체 발달해 힘 불균형
부드러운 폼과 몸 먼저 만들어야
선동열
선동열(54) 한국 야구대표팀 감독은 오는 28일 대표팀 예비 엔트리(45명)를 발표한다. 만 24세 이하 선수로 구성되는 대표팀은 오는 11월 일본에서 열리는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에 참가한다. 내년 자카르타 아시안게임과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위한 초석이다.

투수진 구성에 있어 선동열 감독의 고민은 상당히 깊다. 류현진(30·LA 다저스) 같은 확실한 에이스가 없을 뿐 아니라, 선발진 4~5명을 구성하기도 쉽지 않아서다. 22일 기준으로 KBO리그 평균자책점 순위 10위 내 투수 중 외국인이 6명이다. 국내 선수 4명 중 20대는 2명뿐이다. 평균자책점 2위(3.11) 박세웅(22·롯데)이 눈에 띄고, 평균자책점 9위(3.49) 양현종(29·KIA)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때부터 국가대표로 뛴 베테랑이다. 각 팀 선발 로테이션에 20대 투수는 1명 안팎인 데다가, 그나마 국가대표급은 거의 없다. 지난 3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예선전에서 탈락한 대표팀의 근원적 문제점이 여기에 있다.

지난 8일 만난 선동열 감독은 “최근에는 공을 편하게 던지는 투수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건 중심 이동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인터뷰 내내 하체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집을 짓는다고 생각해보면, 하체 강화는 기초공사에 해당한다. 하체 힘을 충분히 이용하는 게 피칭의 시작인데 그게 잘 이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공은 팔이 아닌 다리로 던져야 한다는 건 전통적인 투구 이론이다. 단단한 다리에서 끌어모은 힘을 앞으로 이동(슬라이드 스텝)한 후 허리와 팔의 회전력을 더하는 것이다.

2010년 이후 데뷔한 투수 대부분은 피칭 메커니즘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게 선동열 감독 진단이다. 선 감독은 이 때문에 어깨와 팔꿈치를 다치는 선수가 많다고 봤다. 그는 “젊은 투수들에게 ‘외야수처럼 스텝을 몇 발 밟은 뒤 던져 보라’고 주문하면 10명 중 9명은 ‘마운드에서 던지는 것보다 편하다’고 대답한다. 바로 자신에게 맞는 피칭폼을 갖지 못했다는 얘기”라고 분석했다.
지난달 울산공고 선수들의 투구 자세를 지도하고있는 김성근 전 한화 감독(왼쪽). [중앙포토]
지난 5월 한화 사령탑에서 물러난 뒤 울산공고 선수들을 가르치고 있는 김성근(75) 전 감독도 비슷한 의견을 냈다. 지난 9일 만난 김 전 감독은 “요즘엔 초등학생 때부터 웨이트트레이닝을 하더라. 상체와 팔에 힘이 붙으니 하체를 활용하지 않는 자세가 된다”며 “많은 투수가 릴리스 후 팔을 부드럽게 무릎 아래로 넘기지 못한다. 손바닥이 바깥쪽을 향하는데 이건 팔꿈치에 무리가 가는 동작이다. 체격이 좋은 메이저리그 선수들은 그렇게 던져도 되겠지만, 아시아 선수들은 하체 힘을 충분히 이용해야 좋은 공을 던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KBO리그를 거쳐 메이저리그에서도 정상급 투수로 자리매김한 류현진·오승환(35·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은 고교 시절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을 받았다. 재활치료에 성공한 이들은 좋은 피칭폼까지 만든 덕분에 수술 전보다 빠른 공을 던졌다. 류현진·오승환의 성공이 ‘수술 신화’처럼 된 데 대한 우려도 있다. 김성근 전 감독은 “좋은 폼과 부드러운 몸을 만드는 것에 집중하지 않고 웨이트 트레이닝과 수술로만 해결하려 한다. 트레이닝 파트의 발전도 더디다”며 “수년째 부상 선수들이 속출했고, 몇몇 의사들만 돈을 벌었다”고 말했다.

김성근 전 감독이 제시한 해법도 부드러운 폼이다. 중심발(왼손 투수는 오른발)을 1자로 꼿꼿이 세워 얻은 추진력으로 하체를 이동한 뒤 상체 회전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제구가 안정되고, 팔에 가해지는 피로와 충격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 전 감독은 “현역 KBO리그 투수 가운데 그런 폼을 가진 투수는 양현종 정도”라고 말했다. 양현종은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556이닝, 올해도 136과3분의2이닝을 던졌다. 체격(1m83cm)이 크지 않은 양현종이 ‘이닝 이터’가 된 비결은 2013년 이후 하체 강화훈련을 열심히 한 덕분이다.

최근 메이저리그식 투구법과 관리법이 유행하면서 선수들과 지도자들의 의식이 바뀌고 있다. 투구 수와 등판 간격을 수치화 하고 있지만, 정작 기본기를 갖추고 좋은 자세를 만드는 것에는 소홀했다는 것이 두 거장(巨匠)의 공통된 지적이다. 지난 두 달 동안 김 전 감독은 고교 선수들과 함께 짜장면을 먹으며 훈련했다. 그가 학생들에게 강조한 건 기본기와 부드러운 폼이다. 선 감독은 KIA 지휘봉을 내려놓은 후 2년6개월간 유소년야구부터 학생야구, 프로야구를 되돌아보며 공부했다. 선 감독도 다시 느낀 것은 ‘기본의 회복’이다.

김식 야구팀장 see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