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소 수십마리씩 얼굴에 달라붙어'..하늘소 세상으로 변한 강북 일대

김하균 2017. 7. 25. 15: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서울 도봉구와 강북구 등 일부 지역에 엄지손가락 크기의 긴 더듬이가 달린 곤충 떼가 출몰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도봉구청이 신고를 접수받아 확인해 보니 벌레는 '하늘소'였다.

시민들은 이 벌레를 '미끈이 하늘소'라고 불렀는데, 이는 옛 명칭이다.

마침 하늘소의 먹이가 되는 참나무, 느티나무 등은 도심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고, 벌레들이 좋아하는 '불빛'까지 다 갖춘 서울 시내는 하늘소에게는 안성맞춤인 보금자리가 된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늘소[이미지출처=연합뉴스]

최근 서울 도봉구와 강북구 등 일부 지역에 엄지손가락 크기의 긴 더듬이가 달린 곤충 떼가 출몰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지난 20일을 전후로 이 벌레 떼에 대한 제보가 급증했다.

'바퀴벌레 같은 벌레가 줄지어 길에 죽어 있다''등굣길에 이상한 벌레들이 날아다녀 무섭다''떨어지면 툭 툭 하고 소리가 나 징그럽다' '수십 마리씩 얼굴에 폭탄처럼 달라 붙고 있다'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강북구 수유동에 사는 주민들은 하늘소가 워낙 많아 사람은 물론 차에 치이기도 한다며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수유동 한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은 "불빛을 보고 날아든 하늘소 때문에 손님들이 놀라서 소리를 지르는 일도 있다"고 말했다.

도봉구 도봉동의 한 인형뽑기방을 습격한 하늘소 무리. 작성자는 바닥에 떨어진 천원짜리를 하늘소 때문에 주우러 가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사진=인터넷 커뮤니티 디젤매니아 캡쳐

도봉구청이 신고를 접수받아 확인해 보니 벌레는 '하늘소'였다. 시민들은 이 벌레를 '미끈이 하늘소'라고 불렀는데, 이는 옛 명칭이다.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와는 다른 종이다.

하늘소 성충의 몸길이는 약 4~6cm 정도다. 머리에는 주름 모양의 점각, 앞 가슴 등 쪽엔 큰 주름이 있다. 등에는 회황색의 짧은 털이 빽빽하고, 몸은 흑갈색이다. 아래쪽에는 긴 회색 털이 나있다.

하늘소는 사람에게 직접 해가 되는 곤충은 아니다. 하지만 나무에 구멍을 뚫고 수액을 먹어 산림청에 의해 해충으로 분류돼있다. 밤나무 또는 참나무 등에 서식하기에 도심보다는 산에서 주로 발견된다.

그러나 최근 유난히 일찍 찾아온 폭염과 이례적인 다습 현상으로 도심이 하늘소의 번식 조건과 잘 맞게 변했다. 마침 하늘소의 먹이가 되는 참나무, 느티나무 등은 도심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고, 벌레들이 좋아하는 '불빛'까지 다 갖춘 서울 시내는 하늘소에게는 안성맞춤인 보금자리가 된 것이다.

도봉구청은 현재 신고가 접수되는 대로 방제를 실시 중이다.

아시아경제 티잼 김하균 기자 lam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