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끗 리빙]김치통 냄새 당연하다고? 이것 하나면 금세 해결!

윤경희 2017. 7. 21.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밀폐용기 반찬통에 설탕물 넣어 놓으면 냄새 싹
뚜껑 닫아 거꾸로 뒤집어 반나절 이상 둬야
지금쯤이면 아무리 대단히 폼 나게 김장김치 먹는 집이라도 지난 겨울 해둔 김장 김치가 떨어질 시기다. 김치는 다 없어졌지만 한참 김치 담아두었던 김치통엔 냄새가 남아 있다. 양념이 강한 반찬을 넣어놨던 다른 반찬통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깨끗이, 여러 번 씻어도 냄새는 그대로다. 계속 같은 용도(김치통이면 김치통)로만 쓸 게 아니라면 밀폐용기에 밴 냄새를 말끔히 제거해야 한다. 그런데 방법이 없다고? 그럴 리가.
김장김치가 떨어질 시기, 빈 김치통이 여럿 나오기 시작했다. 오랫동안 김치가 담겨있던 통은 세제로 아무리 씻어도 냄새가 남아 있다.
냄새 빼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설탕 하나만 있으면 된다. 주방세제나 베이킹소다, 식초 등으로도 제거되지 않던 냄새가 설탕물을 통에 담아 놓는 것 만으로 싹 사라진다. 설탕의 끈적이는 성질이 그릇에 남아있는 음식찌꺼기를 흡착하면서 주변 냄새 분자까지 흡수해 냄새가 빠지는 원리다. 생선을 굽거나 부대찌개를 끓인 후 손에 밴 음식 냄새도 설탕물로 씻으면 잘 없어진다.
김치통뿐 아니라 냄새 밴 다른 반찬통도 깨끗이 씻은 후 그 안에 설탕물을 넣어두면 냄새가 싹 사라진다. 순서는 설탕부터!
방법은 이렇다. 먼저 통을 주방세제 등으로 깨끗하게 씻는다. 그 다음 설탕물을 부을 차례. 설탕물의 농도는 통이 작을 때는 물과 설탕의 비율을 2:1 정도로, 통이 크면 3:1 정도로 맞춘다. 설탕물의 농도가 진할 수록 냄새가 더 확실히 빠진다. 설탕물을 미리 만들어둬도 되지만 그보다는 통에 분량의 설탕을 먼저 넣고 그 다음에 물을 통 가득 담아 설탕을 녹이는 게 설탕 양을 쉽게 가늠할 수 있어 훨씬 편하다.
통에 설탕을 먼저 넣어 양을 맞춘 후 물을 통 끝까지 가득 부어 설탕물을 만든다.
설탕물을 가득 담은 김치통은 뚜껑을 꽉 닫아 거꾸로 뒤집어 둔다. 통 뚜껑과 뚜껑에 붙어있는 고무 패킹에 밴 냄새까지 제거하기 위해서다. 뚜껑이 헐거워 물이 샌다면 따로 빼서 설탕물이 담긴 대야에 담가 냄새를 제거한다. 이렇게 저녁에 해놓고 다음날 아침에 확인하면 냄새가 말끔히 제거돼 있다. 하루에서 최소 반나절 이상은 이렇게 둬야 냄새가 확실하게 빠진다.
설탕물이 담긴 통은 꽉 닫아 거꾸로 뒤집어 놓는다. 그래야 뚜껑에 밴 냄새도 동시에 제거된다.
많은 양의 설탕을 써야하니 김치통 하나만 씻기보다는 냄새 나는 김치통과 반찬통 여러 개를 모아 번갈아 가면서 그 물을 계속 사용한다. 설탕물 담금 과정이 끝나면 통을 깨끗한 물로 헹궈 햇빛에서 1~2시간 정도 놔둬 말린다. 햇빛이 소독 효과와 함께 남은 냄새까지 날라가게 한다.
설탕물을 담가놨던 통을 깨끗한 물로 헹궈 햇빛에 1~2시간 정도 말리면 나머지 잡내도 싹 없어진다.
설탕보다는 효과가 좀 떨어지지만 밀가루도 밀폐용기에 밴 반찬냄새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밀가루 속 글루텐 성분이 냄새를 흡착해 없애준다. 통에 밀가루 한 컵을 넣고 물을 넣고 풀어 3~4시간 통에 넣어두면 된다. 글·사진=윤경희 기자 annie@joongang.co.kr

'아' 다르고 '어' 달라…통역의 달인이 본 中 혈맹 논란

팔 걷는 트럼프, 北제재 어디까지…최후 군사옵션 보니

文정부 '부자 증세' 카드 꺼냈다…당·청 '잘 짜인 각본'

"아베 부인, 헬로도 못하는 영어 실력" 험담한 트럼프?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곳, 자타공인 1위는 어디?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