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에서 온 생명체' 거대배좀벌레 첫 발견

이기준 2017. 4. 18. 14: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거대배좀벌레와 껍데기. [유튜브 캡처]
지난 수백년 간 관찰된 적 없는 거대배좀벌레가 과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됐다. 17일(현지시간) 과학전문지 파퓰러사이언스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된 마고 헤이굿 유타대 교수의 논문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거대배좀벌레(great shipworm). [유튜브 캡처]
거대배좀벌레(giant shipworm)는 이름이 벌레지만 사실 조개의 일종이다. 상아처럼 생긴 하얀 껍데기에 사는 이 조개들은 필리핀 연안 갯벌 속에서 주로 발견된다. 길이는 약 150㎝ 내외이며 두께는 5㎝ 정도다. 갯벌 밖으로 흡입기관을 내놓고 진흙 속 침전물을 흡입하면 거대배좀벌레 속 미생물들이 이를 분해해 영양분을 만들어낸다. 온라인에 이 조개의 실물이 공개되자 까맣고 기이한 생김새 탓에 '지옥에서 온 조개'라는 별명이 붙었다.
진흙 속에 사는 거대배좀벌레의 개념도. [출처 PNAS]
거대배좀벌레는 18세기 문헌에서도 언급되는 등 과학자들 사이에서 오랜 기간 그 존재가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거대배좀벌레가 남긴 껍데기를 통해 그 존재가 유추됐을 뿐 산 채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헤이굿 교수는 "거대배좀벌레는 배좀벌레계의 유니콘 같은 존재"라며 "우리 인간이 지구에 사는 생명체들을 모두 알고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고 밝혔다.
거대배좀벌레의 껍데기를 깨는 모습. [유튜브 캡처]
이기준 기자 foridealist@joongang.co.kr

文=목사님, 安=화난 1등, 홍=낮술노인···'이건 고친다'

'문재인 800평 집' 두고 조국-박지원 SNS서 설전

여직원 몸에 불 지르고 스스로 목숨 끊은 60대 남성

10년새 10억원 뚝···원조 '하늘 궁전' 타워팰리스 굴욕

北미사일 휘어져서 가짜라고? 러시아제와 비교해보니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