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후보가 박정희 생가 방명록에 원래 쓰려던 사자성어는?

김정석 2017. 4. 7. 09: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멸사봉공 한자 실수 앞서 구미서도 실수
방명록에 삼수변 적다 망설인 홍 후보
페이지 넘겨 대란대치(大亂大治) 적어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가 지난 4일 박정희 대통령 생가 방명록에 쓰려던 진짜 글귀는 무엇이었을까.

지난 4일 경북 구미시 박정희 대통령 생가를 찾은 홍 후보. 그는 생가를 둘러본 뒤 방명록을 썼다. 지지자들과 언론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그는 물 수(水) 자의 한자 부수(部首)인 삼수변(三水邊)을 적었다. 그러다 잠깐 붓을 멈춘 홍 후보는 잠시 동안 망설였다. 이윽고 뭔가 생각난 듯한 그는 방명록 페이지를 넘겼다. 그리고 큰 대(大)자로 시작되는 글을 다시 써내려갔다. 새로운 페이지에 적은 글은 '大亂大治(대란대치)'였다. '나라가 어지러울 때는 크게 다스려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지난 4일 경북 구미시 상모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를 방문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가 추모관에서 참배를 마치고 밖으로 나와 방명록에 글을 적기 시작했다. 위에서부터 사진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①펜을 든 홍 후보가 한자 부수(部首) ‘물 수(水)’의 ‘삼수변(三水邊)’을 먼저 적고 있다. ②잠시 후 글쓰기를 멈춘 홍 후보가 페이지를 넘기고 있다. ③다음 장에 큰 대(大)자로 시작하는 글을 새로 적고 있다. ④처음부터 다시 적은 글은 ‘大亂大治(대란대치)’였다. ‘나라가 어지러울 때는 크게 다스려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구미=프리랜서 공정식
사람들은 홍 후보가 과연 무엇을 적으려고 했을지 궁금해 했다. 삼수변으로 시작되는 다양한 한자가 언급됐지만 종잡을 수 없었다. 그러다 지난 6일 홍 후보가 광주 국립5·18민주묘지 방명록에 쓴 글자에서 힌트를 얻었다. 그가 방명록에 남긴 글은 '멸사봉공(滅死奉公)'이었다. 삼수변으로 시작하는 글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사사로울 사(私)를 죽을 사(死)로 잘못 적었다. 결국 홍 후보는 참배를 마친 뒤 '멸사봉공(滅私奉公)'으로 다시 작성했다.
지난 4일 경북 구미시 상모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를 방문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가 추모관에서 참배를 마치고 밖으로 나와 방명록에 삼수변(三水邊)을 쓰고 있다. 구미=프리랜서 공정식
홍 후보는 박정희 대통령 생가에서 '멸사봉공'을 쓰려고 했던 것일까. 멸사봉공이란 말은 광주 5·18민주화운동보다 박정희 전 대통령과 더욱 연관이 깊다. 박 전 대통령이 '진충보국 멸사봉공(盡忠保國 滅私奉公)'이란 말을 생전에 이미 썼기 때문이다. 이는 '충성을 다해 나라에 보답하고 나를 죽여서 국가를 받들겠다'는 뜻이다. 박 전 대통령은 젊은 시절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3년간 교사로 재직하다 신경군관학교를 입학하기 위해 일왕에게 '진충보국 멸사봉공'이라고 적은 혈서를 보냈다. 이는 그의 대표적 친일행위로 꼽힌다.

구미=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속보] 美, 시리아에 미사일 공격···트럼프, 발언 직후

'아넥시트 막자' 문재인, 일정 바꿔 안희정 만난다

미·중 회담 돌입···미소 지은 트럼프·시진핑, 물밑에선

전원책 "대통령 변호인단 3전 전패, 특정 변호사 때문"

"朴, 최순실에게 속고 이용당해 억울하다고 진술"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