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타기 좋은 계절이 왔다..내게 맞는 등산용품 고르는 법은?

조호윤 2017. 4. 1. 09: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등산하기 좋은 계절이 다가오면서 내게 맞는 등산용품을 고르는 법이 이목을 끌고 있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등산을 즐기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나에게 맞는 등산용품을 선택하는 법이 추천됐다.

등산 초보의 경우, 고가의 재킷보다는 신축성이 우수한 티셔츠나 바지를 먼저 구입하고, 이월 상품을 구매해 가격 면에서 부담을 낮추는 게 방법이다.

가벼운 등산이나 산책 시에는 35ℓ 이하의 제품, 장거리 코스의 경우에는 40ℓ 이상의 중ㆍ대형 사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등산화부터 배낭 등 관련 용품까지 '다양'


[아시아경제 조호윤 기자]등산하기 좋은 계절이 다가오면서 내게 맞는 등산용품을 고르는 법이 이목을 끌고 있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등산을 즐기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나에게 맞는 등산용품을 선택하는 법이 추천됐다. 산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서다.

우선, 등산화의 활용 범위를 고려해 구입해야 한다는 점이다. 등산화는 한 번 구입하면 몇 년간 착용하는 만큼 가벼운 산행부터 중급 코스 이상까지 착용 범위를 폭넓게 생각해야 한다. 더불어 장시간 동안 무거운 체중을 싣고 고르지 못한 지형을 걸어 다니는 발과 다리의 피로를 덜 수 있어야 하며, 다양한 지형에 적응하는 능력은 어느 정도인지도 고려해야한다.

모던 하이엔드 아웃도어 살레와의 ‘원더 하이크 로우’는 고어텍스 소재를 사용해 방수 및 투습 효과가 탁월하다. 세계적인 타이어 제조사 미쉐린의 최고 성능 산악자전거 타이어 기술을 아웃솔에 접목해 고르지 못한 지형에서도 접지력과 추진력이 뛰어나다. 마운티아의 릿지형 등산화 ‘마블’은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환경을 책임진다. 마블은 항균ㆍ소취 기능이 탁월하며 가볍고 단단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해 발이 뒤틀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안정성을 극대화했다.

등산복의 경우 방풍 기능을 갖춘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특히 시기별로 구입하는 편이 좋다. 등산 초보의 경우, 고가의 재킷보다는 신축성이 우수한 티셔츠나 바지를 먼저 구입하고, 이월 상품을 구매해 가격 면에서 부담을 낮추는 게 방법이다. 중급 이상의 등산 코스를 즐기는 경우에는 방풍 기능을 기본적으로 살피고 방수ㆍ신축성 등을 탑재한 재킷 제품을 골라야 한다.

아이더 ‘제리코 테크 팬츠’는 인체공학적 설계와 테크니컬한 디자인으로 기능성을 강화해 착용감과 활동성이 우수하다. 부드럽고 가벼운 기능성 소재를 적용해 흡습속건성이 탁월하다. 살레와의 ‘하이퍼 윙팁 윈드스타퍼 재킷’은 방풍ㆍ방수 기능이 탁월한 소재를 사용해 악천후 속에서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준다. 특히 모든 봉제 라인에 심실링 처리를 하여 재킷 틈새로 물이 스며들지 않는다.

등산 배낭은 다양한 등산 장비와 필요한 물품을 운반하는 유일한 제품인 만큼 효율적인 수납공간이 가장 중요하다. 가벼운 등산이나 산책 시에는 35ℓ 이하의 제품, 장거리 코스의 경우에는 40ℓ 이상의 중ㆍ대형 사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낙상 사고 시 신체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내구성이 튼튼한지도 살펴봐야 한다.

살레와 ‘ASCENT 40’은 40ℓ 중형 배낭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견고한 코듀라 원단을 사용했다. 후드 확장형 디자인으로 넉넉한 수납공간을 자랑하며 측면과 하단에 별도 수납공간을 줘 활용도를 높였다. 하그로프스의 ‘네이드 55(NEJD 55)’는 다양한 수납공간과 사이즈 조절로 장거리에 용이한 대형 배낭이다. 등판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서스펜스 시스템을 통해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조호윤 기자 hodo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