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김기춘 잡은 주갤에 인증 "주식도 대박나세요"

김철오 기자 2016. 12. 8. 16: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지난한 철벽방어를 뚫은 한방은 ‘최순실 국조특위’ 위원들의 날선 질문이나 위압적인 호통이 아니었다.

국정농단 세력의 핵심 인물인 최순실씨에 대해 12시간 동안 모르쇠로 일관했던 김 전 실장으로부터 "이제 보니 최순실이라는 이름을 못 들었다고 할 수 없다"는 발언을 받아내 사실상 실토하도록 만든 제보.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지난한 철벽방어를 뚫은 한방은 ‘최순실 국조특위’ 위원들의 날선 질문이나 위압적인 호통이 아니었다. 송곳처럼 들어온 네티즌의 결정적 제보 하나였다.

 국정농단 세력의 핵심 인물인 최순실씨에 대해 12시간 동안 모르쇠로 일관했던 김 전 실장으로부터 “이제 보니 최순실이라는 이름을 못 들었다고 할 수 없다”는 발언을 받아내 사실상 실토하도록 만든 제보. 우리나라 최대 인터넷 커뮤니티사이트 디시인사이드의 주식갤러리(주갤) 이용자가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에게 모바일 메신저로 건넨 제보였다. 박 의원이 주갤에 직접 글을 올려 결정적 제보에 대한 감사의 인사를 표했다.

 박 의원은 8일 오후 2시14분 주갤 게시판에 본명을 사용한 필명으로 “디씨 명탐정 갤러리 주갤! 여러분의 용기가 세상을 바꿉니다. 이젠 주식도 대박 나세요! 감사합니다”라고 적었다. 글만으로는 부족한 듯 같은 내용을 자필로 적은 A4용지를 들고 의원실 앞에서 밝게 웃으며 촬영한 사진도 올렸다.

 박 의원은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조특위 2차 청문회에서 김 전 실장이 최씨를 알고 있었다는 증거로 2007년 7월 19일 영상을 제시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선후보 시절 검증 청문회 영상이었다.

 당시 박 대통령의 당시 대선캠프 법률자문위원장을 지낸 김 전 실장은 이 영상에서 방청석에 잡혔다. 유정복 한선교 홍사덕 의원, 강신욱 전 대법관도 동석했다. 영상에서 ‘최순실’이라는 이름은 반복적으로 나왔다. 최씨의 부친 최태민씨와 박 대통령의 약혼설을 검증하는 과정에서였다.

 시종일관 굳은 표정으로 “아닙니다” “모릅니다” “죄송합니다”를 반복했던 김 전 실장은 영상을 본 뒤 당황한 표정으로 “죄송하다. 나도 나이 들어서…”라고 말을 바꿨다. 박 의원이 “이제 와서 나이 핑계를 대지 말라”고 지적하자 김 전 실장은 “최순실이라는 이름은 이제 보니 내가 못 들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최순실과 접촉은 없었다”고 했다.

 12시간 만에 김 전 실장의 위증을 밝힌 청문회 스타는 주갤 이용자였다. 이 제보자는 박 의원에게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으로 제보한 과정을 주갤에 공개했고, 같은 시간 인터넷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순위는 ‘주식갤러리’로 요동쳤다. 김 전 실장의 실토는 광장과 거리를 밝힌 촛불이 커뮤니티사이트와 소셜미디어로 번진 결과였다.

 박 의원의 인증 글 아래에는 오후 4시 현재 22만5000건 이상의 조회수와 2600건 이상의 댓글이 달렸다. “주갤이 해냈다”는 자축과 “좋은 나라를 만들어 달라”는 당부가 대부분이지만 그 사이에서 “이젠 주식도 대박 나라니… 정곡을 찌르지 말라”는 푸념의 댓글도 있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