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37만에 상승 멈춰..강남4구 일제히 매매가 '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주 서울 아파트값이 37주 만에 상승을 멈췄다. 경기·인천 아파트 매매가는 ▲평택(-0.04%) ▲안산(-0.01%) 등에서 하락했고, ▲고양(0.06%) ▲파주(0.05%) ▲인천(0.05%) ▲부천(0.04%) ▲하남(0.03%) 등의 아파트값은 올랐다. 경기·인천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0.04% 올랐는데, ▲인천(0.13%) ▲하남(0.09%) ▲남양주(0.08%) ▲화성(0.08%) ▲의정부(0.05%) 등에서 주로 상승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주 서울 아파트값이 37주 만에 상승을 멈췄다.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강남4구 아파트값은 모두 하락했고, 서울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는 0.25% 떨어졌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11.3 부동산대책 이후 수요자들이 주택시장을 관망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금리인상 예고 등 대외적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국내 정국 혼란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주택 거래시장이 거의 ‘올스톱’ 분위기”라고 말했다.
2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신도시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 주와 비교해 변동이 없었고(0.00% 상승), 경기·인천 아파트 값은 0.02% 올랐다.
◆ 서울 강남4구 아파트값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초(-0.20%) ▲강동(-0.13%) ▲송파(-0.06%) ▲강남(-0.01%) 순으로 하락했다. 서초는 이미 매수세가 꺾인 상황에서 재건축 사업 진행도 더딘 반포동 주공1단지와 경남, 신반포(한신3차) 등이 3000만~6000만원 정도 떨어졌다. 강동은 둔촌주공2·3·4단지, 상일동 고덕주공5·6·7단지가 250만~1000만원 가량 하락했다.
반면 ▲강서(0.21%) ▲서대문(0.20%) ▲은평(0.13%) ▲영등포(0.09%) ▲성북(0.09%) 등의 아파트 값은 상승했다. 강서는 역세권 소형 아파트에 수요가 꾸준히 몰리면서 가양동 강변, 염창동 동아3차 등이 500만~1000만원 가량 올랐다.
신도시 아파트값은 ▲분당(-0.04%) ▲산본(-0.02%) 등에서 하락했다. 분당은 가을 이사철이 끝나고 매수세가 끊긴 탓에 야탑동 매화공무원2단지 값이 2200만원 정도 떨어졌다. 반면 ▲동탄(0.06%) ▲일산(0.04%) ▲평촌(0.02%) ▲중동(0.01%) 등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랐다.
경기·인천 아파트 매매가는 ▲평택(-0.04%) ▲안산(-0.01%) 등에서 하락했고, ▲고양(0.06%) ▲파주(0.05%) ▲인천(0.05%) ▲부천(0.04%) ▲하남(0.03%) 등의 아파트값은 올랐다.
◆ 서울 강동·서초·송파 전셋값 ↓
서울 아파트 전세금은 0.06% 올랐는데, ▲양천(0.21%) ▲은평(0.20%) ▲도봉(0.18%) ▲강남(0.15%) ▲마포(0.15%) 순으로 상승했다. 양천은 목동 목동센트럴푸르지오, 신정동 목동신시가지9단지, 신정동 목동현대 등이 500만~3000만원 정도 올랐다.
반면 ▲강동(-0.19%) ▲서초(-0.03%) ▲송파(-0.02%) ▲동작(-0.02%) 등의 아파트 전셋값은 떨어졌다. 강동은 명일동 삼익그린2차, 둔촌동 둔촌주공4단지 등이 500만~3000만원 정도 하락했다.
신도시 아파트 전셋값은 0.02% 상승했다. ▲동탄(0.06%) ▲김포한강(0.04%) ▲분당(0.03%) ▲일산(0.02%) ▲판교(0.02%) 등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특히 올랐다. 경기·인천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0.04% 올랐는데, ▲인천(0.13%) ▲하남(0.09%) ▲남양주(0.08%) ▲화성(0.08%) ▲의정부(0.05%) 등에서 주로 상승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 추천→30억 매수→정치 테마주 편입... 재미 본 경제유튜버 선대인
- 함께 어린이날 보내고 나무 심고… 거리 좁히는 대한항공·아시아나
- [사람 살리는 대마]② 韓 의료용 대마 도입 7년째…보험 장벽 높고 임상시험도 어려워
- 대단지 이점에도…통합 재건축 시도 곳곳서 잡음
- [Why] 티메프 사태 후 ‘에이블리’만 1000억원 규모 투자 받은 이유는
- 암젠 이어 화이자도 ‘먹는 비만약’ 개발 중단
- 中·日 투매설에 폭락한 美 국채… 일생일대 투자 기회?
- 中, 보복은 끝나지 않았다… 美 보잉 항공기 인도 중단
- 삼성전기, 中 BYD에 전장 부품 공급
- [단독] 이재명 싱크탱크, 공약집서 ‘기본소득’ 빼고 ‘전생애 기본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