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대책 D-5]"강남 재건축 주춤..영향 제한적"
강남 재건축 상승세 33주 만에 멈춰
강북권은 상승 지속…"내성 생겼다"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주택 시장이 주춤하고 있다.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세가 33주 만에 멈추고 기존 주택 가격의 상승폭도 줄었다. 그러나 정부가 대책 발표를 예고한 지 보름가량 지난 데다 강남 재건축 등 과열 지역을 선별 규제한다는 방침을 세우면서 집값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모습이다.
29일 한국감정원의 10월 마지막 주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을 보면 0.07% 상승했다. 이는 전주(0.08%) 대비 소폭 하락한 수치다. 서울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0.05%포인트,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0.09%포인트 하락했다. 충남(-0.13%), 경북(-0.07%), 충북(-0.03%) 등의 매매가격은 마이너스를 보였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집단대출 보증비율·보금자리론 축소 등 가계부채 대책 시행과 단기 급등 지역의 규제 방안 검토에 대한 언론보도로 인해 추가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위축되고 관망세가 확대돼 서울 강남권을 비롯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부동산114의 조사 결과도 유사하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10월 마지막 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제자리걸음을 하며 33주 만에 상승세를 멈췄다. 강남(-0.02%)과 송파(-0.03%) 재건축이 하락세를 보인 영향이다. 재건축 상승세가 멈추자 서울 전체 아파트값은 0.12% 오르며, 전주(0.24%) 대비 상승폭이 절반에 그쳤다.
그러나 서울 강북권은 매매가격 상승세를 이어갔다. 강북(0.48%), 노원(0.32%), 은평(0.31%), 구로(0.28%), 도봉(0.27%), 강동(0.21%), 동작(0.21%) 순으로 매매가격이 올랐다. 경기·인천 지역에선 과천(0.22%), 광명(0.13%), 고양(0.10%), 의정부(0.10%), 파주(0.09%), 부천(0.08%), 화성(0.08%), 성남(0.07%) 순으로 상승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당분간 부동산 시장은 정책적인 변수가 향후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예의주시하는 수요자들로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라며 "기존 매도자 호가 위주 시장에는 제동이 걸리면서 매도자와 매수자 모두 리스크 요인 점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현재 주택 시장에선 내달 3일 정부 대책에 대한 추측이 무성하다. 투기과열지구 지정, 분양권 전매제한 강화 등이 꾸준히 거론되며 내성이 생겼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전문가는 "정부가 특정 지역에 대한 선별 규제를 강조한 데다 예측되는 규제들 대부분이 장기간 거론되고 있어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끝났다…아마 돌이킬 수 없을 듯" 섬뜩 경고 날린 2380만 유튜버 - 아시아경제
- 2000만t 희토류 '잭팟' 터졌다…단숨에 세계 3위된 이곳 - 아시아경제
- 월급 안 부럽네… 월 500만원씩 따박따박 국민연금 받는 부부 첫 탄생 - 아시아경제
- "맨발로 팬티 입으면 피부병 생긴다"…이유가 뭐길래 - 아시아경제
- "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 아시아경제
- 1500원짜리 커피 팔아 스타벅스 추월…작년 영업익 1000억 돌파했다 - 아시아경제
- "싸구려 취급 더는 못 참아"…'지브리 프사' 인기에 분노 폭발한 日감독 - 아시아경제
-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 아시아경제
- "아이폰 333만원 된다"…트럼프 관세폭탄 최악 전망 - 아시아경제
- 동물단체 반발 속 "곰 350마리 없애겠다"…이유를 들어보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