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만 건 육박 로봇수술 대해부, 잘하는 병원 & 명의 30명

김수진 기자 2016. 1. 27. 18: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권말 부록

로봇수술은 로봇을 환자에게 장착하고, 의사가 컴퓨터로 로봇을 조종해 수술을 집도하는 신(新)의료기술이다. 로봇수술은 2005년 국내에 도입된 이후 매년 수술건수가 늘어나 현재 연 1만 건 가까이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국내 대학병원 대부분은 로봇수술 장비를 갖추고 있다. 이처럼 로봇수술은 우리에게 깊숙이 들어와 있지만 일반인은 궁금한 것이 많다. 대체 로봇수술은 무엇이며,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또 어떤 질환에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수술비는 얼마나 들고 수술 효과는 어떨까? 수술을 받고 싶다면 어떤 병원, 어떤 의사를 찾아가야 할까? <헬스조선>이 심층 취재했다.

[헬스조선]수술용 로봇

 

PART 1 로봇수술 현황과 장·단점

로봇수술은 무엇인가

로봇수술 시 집도의는 환자의 몸에 손을 직접 대지 않는다. 집도의는 환자와 조금 떨어진 곳에서, 로봇이 카메라로 찍은3차원 영상을 컴퓨터 모니터로 보며 양손으로 조종 장치를 원격으로 움직인다. 로봇손은 조종에 따라 약 2.5cm 크기의 구멍을 통해 환자의 몸속에서 움직인다. 3m 크기의 로봇에는 손이 4개 달려 있으며, 손끝에는 가위나 집게 등이 달려 있다. 로봇손은 집도의의 조정에 따라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근종이나 암 조직 등을 정교하게 떼어내고 수술 부위를 꿰맨다.

41개 병원이 로봇수술 기기 총 52대 보유

로봇수술에 사용되는 기계는 대부분 미국 ‘인튜이티브 서지컬(Intuitive Surgical)’社의 ‘다빈치’다. 실제로 인튜이티브 서지컬의 다빈치는 전 세계 수술로봇 시장의 90%를 차지한다. 모델은 다빈치, 다빈치S·Si·Xi가 있다. 초기 모델이 다빈치(1999년 출시 및 판매 시작), 최신 모델이 다빈치 Xi(2014년 출시)다. 기계 한 대의 가격은 30~40억원이며 이전 모델에 비해 넓고 선명한 시야 등으로 좀더 정교한 수술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전 세계 로봇수술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으로 300억달러(약 35조원)이며,3300대 이상이 보급된 상태다. 전문가들은 로봇수술 시장 규모가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본다.

국내 최초로 다빈치 로봇수술을 도입한 병원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이다. 2005년 7월에 비뇨기과 최영득 교수의 주도로 도입됐다. 이후 다른 대학병원에서도 다빈치 기계를 속속들이 도입했으며, 2015년 기준으로 국내 41개 병원에 총 52대의 다빈치 로봇이 들어와 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2005년 국내에서 시행된 로봇수술 건수는 총 17건에 불과했지만, 2014년 기준 8840건으로 급격하게 늘어나고있는 추세다.

 

로봇수술, 무엇이 좋고 무엇이 나쁜가

장점 절개 부위 작아 회복 빠르고 정밀한 수술 가능

로봇수술은 환부(患部)를 절개하지 않고, 복강경수술처럼 사람 몸에 1~4개의 구멍을 뚫어 진행한다. 환자의 수술 부위가 작아지는 만큼 출혈이 적어 회복 속도가 빠르고, 입원 기간도 짧다. 복강경수술은 통상 2개의 수술도구를 동시에 쓸 수 있지만, 로봇수술은 수술도구를 4개까지 동시에 쓸 수 있다.

또한 로봇 손은 상하좌우는 물론 회전 운동이 가능해 집도의가 수술도구의 끝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 시야도 복강경수술에 비해 10배 이상 확대돼 볼 수 있다. 의사가 손을 직접 대는것이 아니므로 손떨림이 보정된다는 장점도 있다. 암 절제술을 예로 들어보자. 육안으로는 확인이 힘들 정도로 확대된 환부를 보면서 손 떨림 없이 정교한 움직임을 통해 주변 조직을 건드리지 않고 암 조직만 깔끔하게 떼어낼 수 있다. 그러다보니 직장이나 전립선, 갑상선 등 좁고 깊은 공간이나 구조가 복잡한 부위를 수술할 때 비교적 효과가 있다.

[헬스조선]연도별 국내 로봇수술 시행 건수(자료 보건복지부)

단점 수술비 2~3배 비싸고 집도의의 숙련도 필요해

그렇지만 로봇수술이 만능은 아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로봇내시경수술센터장 이강영 교수는 “로봇은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 수술 ‘도구’임은 틀림없지만 기존 치료법 자체를 뛰어넘는 무조건적인 방법은 아니다”고 말했다. 목수에게 좋은 연장이 있으면 훌륭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지만, 좋은 연장을 쓴다고 해서 걸작품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비용 문제도 크다. 로봇수술은 현재 건강보험에 적용이 안 된다. ‘신의료기술’에 의한 암 치료를 보장하는 실손보험에 가입했다면 말이 달라지지만, 그렇지 않다면 수술비 전액을 환자가 부담한다. 보험적용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그 반대 의견도 팽팽해, 당분간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립선암 수술을 예로 들어 보자. 개복수술을 하면 약 400만원, 복강경수술을 하면 보통 400만~500만원의 비용이 든다. 그러나 로봇수술 비용은 700만~1500만원 선이다. 즉, 로봇수술이 타 수술에 비해 2~3배 이상 가격이 비싼만큼 수술 효율성도 2~3배 뛰어나다고 하긴 어렵다. 경제적인 비용을 따진다면 환자가 선뜻 로봇수술을 선뜻 로봇수술을 선택하기 어려운 입장이다.

어떤 수술에 적합한가

 

개복·복강경 수술 시 각도나 시야 등의 한계로 수술 부위에 제대로 접근할 수 없는 경우 로봇수술을 하면 효과적이다. 직장, 전립선, 갑상선, 자궁 등이 대표적인 기관이다. 직장은 골반뼈에 둘러싸여 있어 일반적인 수술 방법으로는 신경이 상하기 쉽다. 갑상선의 경우 목처럼 먹고 말하는데 중요한 기관이 근처에 있고, 뇌와 연결된 신경이 많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전립선이나 자궁은 생식기관인 만큼 후유증을 피하기 위해 주변 조직을 건드리지 않고 정교하게 수술하는 것이 관건이라 로봇수술이 알맞다. 개복이나 복강경으로도 충분히 여유롭게 수술할 수 있는 다른 장기들의 경우, 현재로선 굳이 로봇수술을 해야 하느냐에 대한 논란이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시행된 로봇수술 8840건 중 로봇수술이 가장 많이 쓰인 병은 전립선암(3093건)으로, 35% 가량을 차지했다.

 

로봇수술 많이 하는 병원은 어디?

국내에서 로봇수술이 가능한 병원 중 단연 독보적인 기관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이다. 2005년 7월 국내 처음으로 로봇수술을 도입했으며, 2013년 말에는 세계 최초로 로봇수술 1만 건을 달성(단일 기관 기준)하기도 했다. 현재 7개 진료과에서 로봇수술을 하고 있으며 1만 3500건이 넘는 로봇수술을 진행했다. 보유하고 있는 로봇도 가장 많아 수술용 로봇만 5대를 보유중이다. 가장 최신형인 다빈치 Xi는 물론 S, Si 모두 가지고 있다. 의사들에게 로봇수술을 교육하기 위한 로봇 트레이닝 센터에는 트레이닝용 로봇 3대도 있다. 로봇 트레이닝센터는 2009년 6월 국내 최초로 설립됐다. 국내는 물론 외국의 수많은 의료진들이 로봇수술을 배우기 위해 매해 세브란스병원을 찾는다.

2014년 기준으로 33개국에서 1042명의 의료진이 교육을 받았다. 지난 해 말에는 로봇수술 시행 10주년을 맞이해 ‘국제 로봇수술 라이브 2015 심포지엄’을 개최하기도 했다. 심포지엄에서는 미국이나 일본 등 10개국의 로봇수술 전문가 600여 명이 참석해 국내 전문가들과 함께 다양한 노하우·의견을 공유했다.

서울아산병원의 경우, 2007년에 로봇수술을 도입했다. 다빈치 Si 2대와 Xi 1대, 총 3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7200건 이상의 로봇수술을 진행했다. 로봇수술 교육을 위한 트레이닝 센터도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흉부외과가 유명한데, 흉부외과 로봇수술에 한해 국내에서 가장 많은 수술 건수(2015년 기준 573건)를 자랑한다.

[헬스조선]위압 수술 후 평균 입원기간 비교(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삼성서울병원은 2008년 로봇수술을 시작했으며 다빈치 Si 1대와 S 1대 등 총 2대를 운용 중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3886건 이상의 로봇수술을 진행했다.

그 외에도 분당서울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칠곡경북대병원, 고려대병원(안암·구로 등), 이대목동병원,한림대병원(강남성심 등), 가톨릭대병원(서울성모·인천성모·성빈센트 등), 화순전남대병원, 서울대병원,중앙대병원, 부산대병원, 국립암센터, 영남대병원, 아주대병원, 을지대병원, 부산백병원, 강북삼성병원, 울산대병원 등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로봇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PART 2 전국 대학병원 로봇수술 명의 30명

<헬스조선>은 로봇수술의 경험이 풍부하고 특별한 업적이 있는 로봇수술 명의 31명을 선정했다. 선정은 의료계 심층 취재,의사의 수술건수·수술기술·연구실적·특장점 등 다양한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했다.(같은 진료과의 의사 게재 순서는 가나다 순)

 

고대안암병원 비뇨기과 강석호 교수

주요 PROFILE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방광암, 신장암, 전립선암 등

서울대병원 비뇨기과 곽철 교수

주요 PROFILE

[헬스조선]주요 질환별 로못수술 건수(2014년)/자료 보건복지부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신장암, 전립선암, 요로상피암 등

칠곡경북대병원 비뇨기과 권태균 교수
주요 PROFILE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비뇨기 종양 등

전남대병원 비뇨기과 권동득 교수
주요 PROFILE

전남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비뇨기 종양 등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김청수 교수
주요 PROFILE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전립선 질환 등

분당서울대병원 비뇨기과 변석수 교수
주요 PROFILE

[헬스조선]로봇수술 장면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비뇨기 종양 등

고대안암병원 비뇨기과 천준 교수
주요 PROFILE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 진료 분야

전립선암 등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비뇨기과 최영득 교수
주요 PROFILE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전립선암 등

고대안암병원 대장항문외과 김선한 교수
주요 PROFILE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대장암, 직장암

서울아산병원 대장항문외과 김진천 교수

주요 PROFILE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대장암, 직장암 등

연세암병원 대장암센터 민병소 교수
주요 PROFILE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대장암, 직장암 등

삼성서울병원 대장암센터 박윤아 교수
주요 PROFILE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대장·항문 질환

서울성모병원 위장관외과 송교영 교수
주요 PROFILE

가톨릭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위암 등

삼성서울병원 위암센터 안지영 교수
주요 PROFILE

부산대 의과대학 졸업 및 성균관대 의학 석·박사
전문 진료 분야

위암 등

연세암병원 대장암센터 이강영 교수
주요 PROFILE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 고려대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직장암, 대장암 등

칠곡경북대 대장항문외과 최규석 교수
주요 PROFILE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 진료 분야

대장암 등

연세암병원 위암센터 형우진 교수
주요 PROFILE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 고려대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위암 등
로봇수술 건수 828건 이상

강북삼성병원 외과 윤지섭 교수
주요 PROFILE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석사
전문 진료 분야

갑상선암 등

서울대병원 외과 이규언 교수
주요 PROFILE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갑상선암 등

연세암병원 갑상선암센터 정웅윤 교수
주요 PROFILE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 고려대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갑상선암 등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이재원 교수
주요 PROFILE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 진료 분야

심장판막 질환, 심장 내 종양 등 심장 질환

서울아산병원 외과 김기훈 교수
주요 PROFILE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간암 절제술 등

연세암병원 두경부암센터 김세헌 교수
주요 PROFILE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두경부암 등 이비인후과 질환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미란 교수
주요 PROFILE

가톨릭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자궁근종 등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문혜성 교수
주요 PROFILE

이화여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산부인과 질환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 박동춘 교수
주요 PROFILE

경희대 의과대학 졸업 및 가톨릭대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자궁근종, 부인암 등

칠곡경북대병원 부인암센터 이윤순 교수

주요 PROFILE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 계명대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부인암 등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이사라 교수

주요 PROFILE

이화여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골반장기탈출증 등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정경아 교수
주요 PROFILE

이화여대 의과대학 졸업 및 고려대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부인과 질환 등

계명대 동산병원 산부인과 조치흠 교수
주요 PROFILE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 진료 분야

부인과 질환 등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