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병신년(丙申年) 새해

배상복 2016. 1. 5. 00: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6년 새해가 시작됐다. 올해는 간지(干支)상으로 병신년(丙申年)이다. 병(丙)은 붉은색, 신(申)은 원숭이를 뜻하므로 ‘붉은 원숭이의 해’가 된다.

 간지상의 해는 10간(天干)과 12지(地支)가 순차적으로 배합해 만들어진다. 60가지 조합이 반복되므로 육십갑자 또는 줄여 육갑이라 부른다. 병신년 역시 60년마다 돌아온다. 띠는 사람이 태어난 해를 12지가 나타내는 동물의 이름으로 이르는 것이다. 원숭이띠의 해에 태어난 사람은 사교적이고 낙천적이며 재주가 많다고 한다.

 그러나 이처럼 먼 옛날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간지상의 개념은 양력이 아니라 음력으로 따진다. 정확하게는 아직 병신년이 아니다. 여전히 양띠 해인 을미년(乙未年)이다. 설날(정월 초하루, 음력 1월 1일)인 2월 8일에야 비로소 병신년이 시작된다.

 간지상 새해 기준도 조금씩 다르다. 일반적으로 음력 1월 1일을 간지상 새해의 시작으로 보지만 주역파(周易派) 또는 역경파(易經派)는 동지(冬至)부터, 명리학(命理學)을 하는 사람들은 입춘(立春)일부터 새해로 간주한다고 한다.

 즉 달력상으로는 음력 1월 1일이 음력 새해에 해당하지만 음양(陰陽)으로 따지면 동짓날 다음부터 양(陽)이 길어지므로 주역파에선 이를 새해로 보았다. 사주(四柱)를 보는 사람들은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는 입춘일을 새해로 생각했다.

 어쨌거나 양력과 음력의 날짜가 다르다 보니 간지상 개념을 적용하는 데 다소 혼란이 온다. 요즘은 “2016년 병신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병신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처럼 양력 새해를 기준으로 간지상의 해를 언급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간지상의 해에 대한 관심이 여전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양력 새해에 간지를 언급하게 된다. 음력을 꼬박꼬박 따져 간지를 적용하기는 불편하다.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있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이를 용인하는 분위기다. 병신년이 들어 있는 해라고 이해하면 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배상복 기자 sbbae@joongang.co.kr

안철수, 이희호 찾아 큰절···장하성에겐 "예전에 미안"

안철수 신당 지지율 17.3% 어디서 왔나...특히 호남서는

사우디, 이란과 단교···"누가 먼저 죽나" 2차 석유전쟁

"5억엔 못 산다고 전해라~" 새누리 로고송 포기 사연?

日, 위안부 법적책임 인정했나···본지 1000명 설문조사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