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의 유래, 현충일 의미..일본식 표현 사라진다

장지연 2015. 6. 6. 13: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SBS)

현충일의 유래, 현충일 의미…일본식 한자어 사라지나

매년 6월 6일 현충일의 유래, 현충일 의미란 무엇일까.

조국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애국 선열과 국군 장병들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정한 기념일이다.

현충일을 맞아 태극기 다는 법이 SNS에서 관심을 모은다.

'행정자치부'는 태극기 다는 법을 게재했다.

태극기 다는 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행정자치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www.mogaha.go.kr/frt/sub/a06/b08/nationalIcon_2_3/screen.do)

한편, 이런 가운데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구라'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식 한자어 순화어 선정 소식도 전해졌다.

서울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일본식 한자어나 일본식 표현 등에 대해 순화어로 바꿨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순화어는 일본식 한자어 21개, 외국어 2개 등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으로 식비 혹은 식대는 '밥값'으로, 러시아워는 '혼잡시간(대)', 행선지는 '가는 곳', 절수는 '물 절약' 등으로 바뀌었다.장지연기자 wowsports06@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