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숟가락은 왜 'ㄷ' 받침을 쓸까

김현정 2015. 5. 22. 00: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번지점프를 하다’란 영화가 주는 여운에 한동안 설레어 잠 못 이룬 적이 있었다. 벌써 10년이 넘게 지났지만 기억나는 장면이 여럿이다. 그중에서도 여자 주인공 태희가 남자 주인공 인우에게 이런 질문을 하는 장면이 새삼 떠오른다.

 “젓가락은 ‘ㅅ’ 받침이잖아. 근데 숟가락은 왜 ‘ㄷ’ 받침인 거야?” 젓가락과 숟가락 모두 발음은 별 차이가 없는데 왜 숟가락만 ‘ㄷ’ 받침이 붙느냐는 이야기였다. 국문학과 학생인 인우는 고민 끝에 젓가락을 들고 “젓가락은 이렇게 집어먹으니까 ‘ㅅ’ 받침이고, 숟가락은 이렇게 퍼먹으니까 ‘ㄷ’ 받침인 거야. 봐, ‘ㄷ’ 자처럼 생겼잖아”라고 대답한다.

 관객들에게 웃음을 줬던 장면이지만 그 내용은 정답이 아니다. 그렇다면 숟가락엔 왜 ‘ㄷ’ 받침이 붙었을까.

 젓가락에 ‘ㅅ’ 받침이 붙는 이유부터 살펴보자. 젓가락은 젓가락을 의미하는 한자 ‘저(著)’와 가늘고 길게 토막이 난 물건을 세는 단위인 ‘가락’을 합해 만든 합성어다. 여기에 사이시옷이 들어가 ‘젓가락’이 된 것이다. ‘차+잔’에 사이시옷이 들어가 ‘찻잔’, ‘비+자루’에 역시 사이시옷이 끼어 ‘빗자루’가 된 것과 같은 이치다.

 이렇게 두 낱말이 합쳐져 생긴 합성어의 경우 사이시옷이 붙는 일이 많기 때문에 ‘숟가락’도 ‘숫가락’이 돼야 하는 게 아닐까 생각하기 십상이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 제29항을 보면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때 ‘ㄹ’ 소리가 ‘ㄷ’ 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는 규정이 있다. 이 규정에 따라 ‘바느질+고리’는 ‘반짇고리’, ‘사흘+날’은 ‘사흗날’, ‘이틀+날’은 ‘이튿날’, ‘삼질+날’은 ‘삼짇날’, ‘풀+소’는 ‘푿소’, ‘설+달’은 ‘섣달’이 된다.

 ‘숟가락’은 밥 등 음식물을 숟가락으로 떠 그 분량을 세는 단위인 ‘술’에 ‘가락’이 붙어 이루어진 단어다. 숟가락 역시 끝소리가 ‘ㄹ’인 말(술)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숫가락’이 아닌 ‘숟가락’으로 쓰게 된 것이다.

김현정 기자 kim.hyunjung@joongang.co.kr

▶ [우리말 바루기] 더 보기

조현아, 구속 143일만에 석방…항소심 집유2년

슈뢰더 "병든 남자 독일을 건강한 여자로 만든건"

박정희 "대선 출마 않겠다"…세번 찾아가 설득한 JP

초밀착 유니폼 지퍼를…레이싱모델 도발 손짓

15억원 떼먹은 40대女, 2년간 도주 하면서 헐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