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동지, 동짓날 팥죽 먹는 이유는?

2014. 12. 22. 14: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절기 중 밤이 가장 긴 '동지(冬至)'가 찾아왔다. 매년 동지는 양력으로 12월 21일 혹은 22일로 같으나 음력은 다른 날짜이다.

24절기 가운데 하나인 동지는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있다. 북반구에서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아 밤이 가장 긴 날이다. 같은 시간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인 '하지'가 된다. 동지를 기점으로 낮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종교적으로 혹은 풍속적으로 축제로 삼았다.

동지는 밤이 길고 날씨가 춥다. 이를 이용해 호랑이가 교미를 하는 날이라 해서 '호랑이 장가 가는 날'로 불리기도 했다. 또 눈이 많이 내리고 추우면 풍년을 알리는 징조로 여기기도 했다.

'작은 설'이라 불리는 동지는 이날을 기점으로 태양이 다시 부활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어 '작은 설'로 여겨진 것이다. 옛 사람들은 이 때문에 '동지가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팥죽을 먹는 풍습은 팥죽의 붉은색이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전염병을 예방한다는 토속신앙에서 비롯됐다. 또 찹쌀로 새알심을 따로 만들어, 먹는 사람의 나이만큼 팥죽에 넣어 먹었다. 팥죽은 소화가 잘 돼 겨울철 대표 건강식으로 꼽힌다.

온라인 중앙일보

'오늘 동지' '오늘 동지' '오늘 동지' [사진 중앙포토]

[단독]

'이석기' 국민이 뽑았으니 의원직 유지? 여론조사서…

"애국가, 국가 아니다" "남쪽 정부"…이래서 국민이 외면

그 영향 탓? 박 대통령 지지율 43%, 하락 멈춰

"내 곁에 끝까지 남는 건 배우자뿐"…부부애 열풍

[단독]

검찰, 이정희 등 '국보법 위반 혐의' 수사 착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