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복 입추 겹친 이유, 알고 보니 음력·양력 날짜 계산법 '아이러니'

온라인이슈팀 2014. 8. 7. 16: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말복 입추 겹친 이유, 알고 보니 음력·양력 날짜 계산법 '아이러니'

7일인 오늘 말복과 입추가 겹쳤다. 어쩌다가 이렇게 된 것인지 그 이유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말복은 삼복의 하나로 여름 마지막으로 더운 날이다.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을 뜻하며, 이를 '삼복더위'라고 부른다. 입추는 여름이 지나고 가을로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후다. 입추부터 입동 전 까지를 가을이라고 칭한다.

의미상으로도 확연히 다른 두 날이 어쩌다가 겹친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말복과 입추의 날짜 계산법의 차이 때문.

말복은 음력을 기준으로 하며 6월~7월 사이에 정해지는 반면 입추는 24절기에 포함돼 양력 기준으로 날짜가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날짜 계산법의 차이로 인해 말복과 입추가 겹치게 된 것.

말복 입추 겹친 이유 소식을 접한 네티즌은 "말복 입추 겹친 이유, 아하 이런 거였군" "말복 입추 겹친 이유, 간단한 이유 였구나" "말복 입추 겹친 이유, 가장 더우면서 가을이 오는 아이러니"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이슈팀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