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눈덩이'
가계부채 증가세가 다시 빨라졌다. 은행의 10월 가계대출이 증가폭이 전달보다 3배 이상 증가하며 474조원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은행 가계대출을 포함한 전체 가계부채 1000조원 시대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6월 말 기준 가계부채는 980조원이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10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은행의 가계대출(모기지론 양도분 포함)이 전달보다 2조8000억원 늘었다. 이는 전달의 증가폭 9000억원 보다 3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이로써 가계대출 증가세는 8월 2조8000억원에서 9월 9000억원으로 줄었다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10월까지 가계대출 누적액도 474조4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한은은 정부의 8.28 부동산 활성화 대책에 따라 가계대출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했다. 대책이 8월에 나오기는 했으나 추석연휴가 낀 데다, 주택대출 금리가 잠시 상승했기 때문에 10월로 들어서며 대출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8월 2800호(戶)에서 9월 4200호, 10월 7600호로 꾸준히 상승 중이다.
기업대출은 한 달 전보다 4조1000억원 늘어난 630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대기업 대출이 156조1000억원으로 1조3000억원 증가했고, 중소기업은 474조6000억원 2조8000억원 늘었다. 다만 증가세는 둔화됐다.
은행 수신은 1171조2000억원으로 한 달간 8조3000억원이 늘었다. 특히 전월 1조4000억원이 빠졌던 정기예금이 5조4000억원 불었다. 또 자산운용사의 수신 잔액은 340조1000억원으로 1조원 증가했다. 아울러 10월 중 시중통화량(M2ㆍ평잔) 증가율은 전년 동기대비 4%대 중반일 것으로 추정됐다. M2 증가율은 8월 3.9%, 9월 4.6%로 점차 가팔라지고 있다.
한민옥기자 mohan@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가려운 부위 공략"…美 관세부과, 우리만의 협상카드 빼 들어야
- 구광모 “최우선 기준은 고객…더 사랑받은 LG 미래 만들자”
- "AI 법·제도, 불확실성·중복규제 최소화해야"
- `디지털금융`에 빠진 금융권…대세는 `생성형AI`
- 금감원·소액주주 눈치보는 상장사…올해 유상증자 규모 급감
- "빚이라도 덜 지려면 접어야" 부동산 시행사 `줄도산`
-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6월3일까지 유지될까?
- 불붙는 가상화 시장…`탈 VM웨어` 수요 쟁탈전
- 트럼프, 中엔 104% 관세… "美, 맞으면 더 세게 맞받아친다"
- 잦아지는 정치권 발길… 커지는 은행 `상생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