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간판, 원목 우체통 .. 딸기 마을 확 달라졌네요

한영익 2013. 10. 17. 00: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필중 도비문화학교 대표논산 포전마을서 재능 기부

포전마을 주민들과 도비문화예술체험학교 관계자들이 우체통 기증식을 앞두고 환하게 웃고 있다. 맨 왼쪽이 강필중 대표.

지난달 29일 충남 논산 포전마을 회관. 강필중(47) 도비문화예술체험학교 대표와 마을 주민 10여 명이 한데 모였다. 강 대표가 동료·학생들과 함께 만든 원목 우체통을 마을 주민들에게 기부하는 자리. 형형색색의 우체통도 주인을 기다리며 길게 줄을 서 있었다. "우체통 밑둥은 썩지 않는 방부목이라 시멘트로 고정시켜도 된다. 더 많이 만들어 드려야 되는데 그러지 못해 죄송하다"는 강 대표의 말에 주민들은 박수로 답했다. 김철중(68) 이장도 "우리가 능력이 안 돼 하기 어려운 일을 멀리까지 와서 도와주니 너무 고맙다. 생각보다 우체통을 너무 잘 만든 것 같다"며 만족스러워 했다.

 강 대표는 지난 4월부터 이 마을 우체통을 비롯, 마을안내간판과 문패 등을 만들어주는 재능기부를 하고 있다. 안내간판은 만 6개월째 돼서야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 높이만 약 3m. 간판을 땅에 고정시키는 기초공사부터 채색까지 강 대표가 모두 직접 손으로 해결했단다. 작은 공사에 버금갈 정도로 손이 많이 가는 일이지만 인부를 쓰지 않다보니 시간이 오래 걸렸다.

 "캐릭터를 만드는 데 제일 많은 고민을 했어요. 이 마을에선 딸기가 많이 생산돼 가장 유명한데 결국 이 마을 정체성에 맞는 캐릭터로 딸기를 골랐습니다. 간판에선 불필요한 걸 모두 배제했어요. 외부인들이 궁금해할 만한 체험농장 위치를 위주로 안내도를 만들었습니다."

 강 대표가 A부터 Z까지 일일이 손을 댈 수 있었던 건 그가 회화와 목공예를 모두 할 줄 알아서다. 그는 부산대에서 회화를 전공한 화가지망생이었다. 작업실을 직접 만들고 싶어 목공예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강 대표는 "친환경 소재면서 동시에 내 취향에 맞는 소재가 원목이었다. 마음을 먹은 뒤 2002년 곧장 충북 괴산의 한 통나무 작업장을 찾아 목공예를 배우기 시작했다"고 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도 그는 여전히 자신만의 작업실을 만들진 못했다. 그는 "여전히 그 꿈은 현재진행형"이라며 "예전엔 개인용 작업실을 갖고 싶었는데 이젠 학생들과 함께 그림도 그리고 목공예 작업도 할 수 있는 통합작업장을 만들어보고 싶다"고 했다.

 도비문화체험예술학교의 재능기부는 '스마일재능뱅크'(www.smilebank.kr)를 통해 진행됐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하는 재능기부 매칭 프로그램 스마일재능뱅크를 통해 현재 약 3만5000명의 기부자들이 1144개 농·어촌 마을에서 재능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논산=글·사진 한영익 기자 < hanyijoongang.co.kr >

한영익 기자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center/v2010/power_reporter.asp

K-9 자주포로 쏴 개성까지 '팡!'…軍 신무기 뭔가 보니

'남편 월급 4배' 비밀 알바하던 아내, 모텔 앞에서…

예행연습하면 뭐하나…'자질 논란' 불씨 지핀 윤진숙

한·미 압박? 北 옥죄기 시작한 中, 그 속내 들여다보니

여권 차기 대권·당권 주자들 한자리에…무슨 일?

"당신의 변명은?" 몸매자랑 비키니女에 인터넷 '시끌'

나체로 수백명 여성들 누워 단체 마사지 '진풍경'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