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부동산 정책 변화가 최대 변수
올해 시장 전망 설문
새 정부의 정책 변화 가능성이 올해 상반기 부동산 시장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또 오피스텔의 인기가 다소 하락한 가운데 토지.경매에 대한 관심이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거주자 540명을 대상으로 '2013년 상반기 부동산시장 전망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 4.22%)를 실시한 결과 부동산 경기가 완만하게 하락하거나 급격히 나빠질 것이라는 답변이 전체의 46.8%를 차지했다고 지난해 12월 31일 밝혔다.
전세금은 계속 오를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 내년 상반기 아파트 전세가격은 5% 미만 40.2%, 5% 이상 25.9% 등 '오른다'는 답변이 66.1%에 달했다. 특히 이들 가운데 절반이 넘는 58.4%는 '아파트의 투자가치 감소에 따른 전세수요 증가'를 상승요인으로 들었다. 현재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답변은 24.3%, 5% 미만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답변과 5% 이상 하락할 것이라는 답변은 각각 8%와 1.7%에 불과했다.
상반기 부동산 시장의 가장 큰 변수로는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부동산 정책 변화'를 선택한 응답자가 36.7%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하우스푸어 등 가계부채 문제(22%), 미국의 추가 양적완화와 유로존 위기 등 대외 경기여건(14.8%), 금리인하.민간소비 등 거시경제지표 변화(13%) 등의 순이었다.
부동산114 김은진 연구원은 "새 정부가 정권 초기 부동산 정책의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면서 가계부채 연착륙 방안이나 추가적인 주택경기 활성화 대책 등을 내놓는다면 예상보다 빨리 분위기가 반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상반기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응답자의 26.7%는 아파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피스텔.토지(각 14.4%), 경매(12.3%) 등도 선호도가 높았다. 과거 조사와 비교할 때 토지와 경매에 대한 선호도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윤경현 기자
☞ 파이낸셜뉴스 [모바일웹]| 패밀리사이트 [부산파이낸셜뉴스][fn아이포커스][fn아트]| 공식 SNS계정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성광 아내' 이솔이, 암투병 고백 후 사망 루머 "어떻게 해야할지"
- 故김새론 배우 복귀 위해 신내림 받았다? 측근 "사실 아냐"
- '결혼 12일 만에 파경' 이민영 "공백기 고스톱으로 7조 모아
- '순돌이' 이건주, 44년 만에 친모 만났다…"이름 바꾸고 재혼"
-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살해' 혐의…50대 남성 검거
- 49세 엄기준, ♥30대 아내와 첫만남 "술자리서 번호 땄다"
- 말다툼 끝 아내 찌르고…27층 아파트서 부부 떨어져 숨져
- "끝난 관계인데 뭐가 문제냐"…불륜 들키고도 뻔뻔한 남편
- "송혜교 손등에 담배빵"…실수한 여배우 남편 '격분'
- "아빠만 넷, 친부 몰라…母 사망 후 정신질환" 충격 사연